의학용어 Myelopathy vs Radiculopathy

반응형

Myelopathy(척수병증)과 Radiculopathy(신경근병증)은 유사한 증상을 유발할수 있기 때문에 감별하여 진단할 필요가 있습니다.

척수병증은 척수(Spinal cord)가 압박되면서 생기는 것이고, 신경근병증은 신경의 뿌리가 압박되면서 생긴다는 특징이 있는데요.

각각 다른곳을 압박하면서 생기게 되므로 구별할 필요가 있고, 유사하면서도 다른 증상을 보일수가 있게됩니다.

 

신경근병증(Radiculopathy)는 디스크의 예를들어서 설명해볼수가 있겠습니다.

우리가 흔히 아는 디스크(추간판탈출증)는 척추 사이에 존재하는 충격을 흡수하는 쿠션 역할을 하는 추간판이 제위치를 벗어나 신경을 압박하게 되면서 흔히 나타납니다.

보통 요추에서 발생하는 디스크는 L5-S1 지역에서 흔하게 나타나는데요, 척추를 위에서부터 아래까지 나열해볼때 척수(Spinal cord)는 L1-L2 레벨까지만 내려오기 때문에 요추에 발생하는 디스크는 척수를 압박하지 않는 경우가 많습니다.

추간판 탈출증도 환자에 따라서 경미한 증상을 보이는 경우와 심각한 통증을 유발하는 경우처럼 증상의 상이함을 보이게 되는데요.

 

추간판탈출증으로 인해서 신경의 뿌리가 눌리는 신경근병증이 생기게되면 심각한 통증을 유발할수 있습니다.

신경근이 눌리게되면서 요추 쪽의 통증이 나타나게 되고, 신경근이 담당하는 여러가지 신경분절을 따라서 팔다리에 방사통이 유발될수 있습니다.

경추(목)에서 신경근병증이 발생하게 되는경우 역시 팔다리의 방사통이나 목의 통증등이 유발될수 있습니다.

 

 

척수병증의 경우는 척수(Spinal cord) 자체가 압박되면서 여러 증상이 나타나게 되는데요.

이를테면 Spinal canal이 좁아진경우와 같은 척추관 협착증에서는 척수 자체가 압박되게 되고, 이로인해서 여러 불편감이 나타날수 있습니다.

이런 경우에는 말초쪽이 아닌 중추쪽의 문제가 동반되어 나타날수 있게됩니다.

이를테면 균형감각의 이상이 생기거나 운동과 감각에 이상이 생기는 것이지요.

심각한 경우에는 대소변 장애가 생기기도하며, 통증 역시 흔하게 나타나는 증상입니다.

 

척수병증과 신경근병증은 모두 보존적치료와 수술적치료, 감압술 등을 고려할수 있게되는데요.

보존적치료로서 진통제나 물리치료 등을 시행해볼수 있고, 압박된 척수나 신경근의 압력을 줄여주는 감압술 역시 고려해볼수 있습니다.

보존적치료가 효과가없거나 응급으로 수술이 필요한경우에는 수술적치료를 시행할수 있는데요.

신경근을 압박하는 디스크를 제거해주는 수술등이 대표적인 수술적 치료에 해당합니다.

 

척수병증과 신경근병증은 디스크뿐만 아니라 여러 퇴행성 변화나 자가면역질환, 종양 등에 의해서도 생길수가 있는데요.

원인과 증상의 중증도에 따라서 치료를 다양하게 고려해볼수가 있습니다.

 

반응형

'의학용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의학용어 LBP, 의학용어 SLR  (0) 2020.04.02
의학용어 CRPS, CRPS 초기증상은?  (0) 2020.04.01
의학용어 HNP, 의학용어 HIVD  (0) 2020.03.29
의학용어 ICP  (0) 2020.03.26
의학용어 AGE, 의학용어 UGI  (0) 2020.03.25

댓글

Designed by JB FAC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