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학용어 PCN = Percutaneous Nephrostomy
우리말로 '경피적 신루 설치술' 이라고 번역됩니다.
쉽게 예를 들어서 설명해보겠습니다.
소변은 신장에서 요관을 통해 방광으로 가서 저장되어 있다가 우리가 소변이 마렵다고 느끼면 요도를 통해서 밖으로 배출이 됩니다.
이게 정상적인 노폐물배설의 과정입니다.
하지만 특정한 이유로, 이를테면 요석(요로에 생긴 돌)으로 인해서 오줌길이 막혀있다면 어떨까요?
원활한 노폐물의 배설과정이 일어나지 않을것입니다.
이러한 경우에 필요한것이 PCN, 경피적 신루 설치술입니다.
정상적인 소변 배출과정이 진행되지 않을때,
이 경로를 우회해서 신루를 만들어주고 소변이나 또는 돌의 배출을 유도하는 것입니다.
요로에 생긴 돌처럼 소변길을 막는경우, 전립샘에 생긴 종양, 비뇨계에 생긴 여러가지 다양한 문제들이 원인이 됬을때 경피적 신루 설치술을 시행할 수 있습니다.
경피적 신루 설치술은 피부를 통해서 작은 튜브를 집어넣고, 이를 통해 신장까지 가서 소변을 배액할 수 있습니다.
경피적 신루 설치술은 정확한 위치에 넣기 위해서, 특수한 영상학적 기법을 이용하여 정확하게 시술이 진행된다고 합니다.
시술전에는 예방적 항생제, 대표적으로 3세대 세팔로스포린계 항생제가 투여될 수 있습니다.
경피적 신루 설치술은 피부를 통해서 관을 삽입하기 때문에 불편감이나 통증이 유발될 수 있는데요,
이러한 이유 때문에 시술전에 리도카인과 같은 마취물질을 통해서 마취를 시행한 후 시술이 진행됩니다.
보통 옆구리쪽을 통해서 시술이 진행이 되고, 시술시에는 마취를 하더라도 어느정도의 통증이나 불편감은 유발될 수 있습니다.
시술 시행후에는 소량의 피가섞인오줌, 또는 튜브 근처에서 소량의 소변 누출등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만약 다량의 피가 섞인 오줌이나, 튜브 근처에서 다량의 소변 누출이 발생하는 경우는 바로 의료진에게 말해야 합니다.
또한 통증이 심하거나 열이 나는 경우, 심하게 불편감을 느끼는 경우에도 의료진에게 말해야 합니다.
시술 후에는 안정을 취하면서 혈역학적 수치들이 특이하게 변동을 이루지는 않는지, 전해질이나 수분의 양에 대한 모니터링, 적절한 수액 공급등이 필요하겠습니다.
시술 후 합병증이 발생하지 않도록 말입니다.
시술 후 합병증으로 알려진것은 출혈이나 감염, 기흉, 복막염, 누출, 비장이나 간손상, 카테터 폐색 등이 있습니다.
'의학용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의학용어 AGE, 의학용어 UGI (0) | 2020.03.25 |
---|---|
의학용어 CC, 의학용어 ROS (0) | 2020.03.21 |
의학용어 CTS란? (0) | 2020.03.04 |
CS 의학용어 정리 (0) | 2020.03.04 |
의학용어 BPH, 의학용어 PDA 정리! (0) | 2020.03.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