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S 의학용어 정리

반응형

오늘은 CS 의학용어에 대해서 자주 쓰이는 용어들을 정리해보겠습니다.

 

CS는 보통 Cardiothoracic Surgery, 즉 흉부외과를 부르는 이름으로 사용되는 의학용어입니다.

Cardiovascular + Thoracic = 심혈관계 + 흉부 = 심장과 폐 등 중요장기를 비롯한 흉부(가슴쪽)

 

흉부외과는 일의 강도가 높고 생명에 위중한 수술을 많이 다루기 때문에 실제로는 사람들이 잘 하고싶어하지 않는 과이지만 드라마에서는 빈번히 등장하는 과입니다.

최근 방영된 낭만닥터 김사부에서도 흉부외과와 응급의학과에 대한 얘기가 주를 이뤘던것으로 아는데, 맞나요?

 

각설하고, 흉부외과는 실제로 필요한 만큼 공급되지도 않고(힘들어서 기피하기 때문에), 흉부외과는 일의 강도와 받는 스트레스에 비해 대우가 너무 안좋다고들 말합니다.

하지만 흉부외과는 심장과 폐, 흉부에 관한 수술을 다루는 과이므로 굉장히 중요한 과입니다.

 

 

그럼 CS, 즉 흉부외과에서 사용되는 의학용어에 대해서 정리해보겠습니다.

 

1. CPR : Cardio Pulmonary Resuscitation

> 심폐소생술로 모두 한번쯤 들어보셨을 겁니다.

> 심정지 상태에 이르렀을때 흉부압박을 통해서 심장박동을 정상으로 되돌리기 위한것을 말합니다.

 

2. ROSC : Return Of Spontaneous Circulation

> 자발순환회복이라는 뜻입니다.

> 심폐소생술 이후 심장박동이 정상으로 돌아와서 환자 스스로 혈액순환이 가능하게 된것을 의미합니다.

 

3. PEA : Pulseless Electrical Activity

> 무맥성 전기 활동이라는 뜻입니다.

> 맥박이 없다는 것은 심장박동이 이루어지지 않는다는 것을 말합니다. 심정지 상태를 말하는거죠.

> 하지만 심전도에서는 맥박이 있는것처럼 보여지는 것입니다. 맥박은 잡히지 않는데 심전도는 심장이 뛴다고 말하는 상태를 말합니다.

 

4. Cardiac arrest

> 심정지 상태. 심장박동을 멈춘것을 의미합니다.

 

위부분은 사실 흉부외과보다는 응급의학과에서 더 자주사용되는 의학용어입니다.

드라마에서도 자주 등장했던걸로 기억(?)합니다.

 

아래는 흉부외상에 대한 의학용어들입니다.

 

1. Trauma

> '외상' 이라는 뜻으로 물리적으로 장기가 충격을 받아 손상을 입은것을 말합니다.

 

2. ECMO : Extracorporeal Membrane Oxygenation

> '체외막 산소 공급' 이라는 뜻으로 환자의 심장이나 폐기능이 정상적이지 않을 경우 사용하는 기계입니다.

> 밖에서 인공적으로 산소를 공급해주고 이산화탄소를 제거해주며 심폐기능을 도와줍니다.

 

3. Tension pneumothorax

> '긴장성 기흉' 이라는 뜻으로 여러가지 원인이 있을 수 있습니다. 외상에 의한 경우를 보면,

> 외상으로 인해 흉막에 공기가 차게되고, 심장이 한쪽으로 밀리게되면서 혈액순환과 폐기능에 장애가 생기는것입니다.

 

4. Hemothoarx

> '기흉' 은 흉막에 공기가 차는것, '혈흉' 은 흉막에 피가 고이는것.

> 혈흉은 기흉과 동반되어서 나타나는 경우가 흔하고 가슴통증이나 빠른 맥박 등을 일으킵니다.

 

5. Cardiac Tamponade

> '심낭압전' 은 심장을 둘러싸고 있는 막 사이에 기체, 액체 등이 고이게 되면서 심장이 눌리는 것을 말합니다.

> 응급적인 상황이며 빨리 치료가 필요합니다.

 

6. Thoracentesis

> '흉강천자' 로 흉막 공간에서 체액이나 공기를 제거하는 것입니다.

> 흉막삼출과 같은 경우 흉막에 액체가 차있는 상태이고, 이 경우에 흉강천자를 해볼수 있겠습니다.

 

7. Rib Fracture

> 흉강을 둘러싸고있는 갈비뼈가 골절된것을 말합니다.

 

8. CVP : Central Venous Pressure

> '중심 정맥압' 이라는 뜻으로 심장의 우심방 근처에 있는 대정맥의 혈압을 말합니다.

> 심장으로 얼마만큼의 혈액량이 들어오고(얼마나 부하가 걸리고) 우심방의 압력이 어느정돈지 가늠할 수 있습니다.

 

 9. Pericardiocentesis

> '심낭천자' 로 흉강천자와 비슷하게 생각하시면 됩니다.

> 흉강천자는 흉막에서 액체나 공기를 빼내는 것이지만 심낭천자는 심장막에서 액체나 공기를 빼냅니다.

 

 

흉부외과에서 시행하는 수술용어로는 어떤게 있을까요?

 

 

1. Cardiac transplantation

> 심장 이식입니다.

> 만약 심장기능의 부전이 너무심하거나, 관상동맥 질환이 심할경우 다른 치료가 실패했을때 사용합니다.

> 전세계적으로 1년에 3,500건 정도 시행된다고 합니다.

 

2. CABG : Coronary artery bypass surgery

> 관상동맥우회로이식술입니다.

> 심장에 혈액공급을 하는 혈관을 관상동맥이라고 부르는데, 관상동맥이 막혔을 경우 협심증이나 심근경색 등의 위험이 생깁니다.

> 이경우 막힌 관상동맥을 대신해, 신체내의 다른 혈관을 이용해서 우회로를 만들어서 원활하게 심장에 혈액공급을 하도록 하는 수술입니다.

 

3. Valvuloplasty

> 심장판막복구술

> 심장안에 있는 판막이 좁아지거나 손상되었을때 판막을 고치는 수술입니다.

 

4. Median Sternotomy

> '정중 흉골 절개술'로 심장이나 폐에 쉽게 접근하기 위해서 가슴 가운데 있는 흉골을 절개하는 수술입니다.

 

5. Valve Replacement

> 판막치환술

> 판막손상시 판막을 인공판막으로 대치하는 수술을 말합니다.

 

 

이외에도 흉부외과에서 사용되는 의학용어는 수없이 많습니다.

오늘은 제가 생각하기에 그래도 자주 쓰인다고 생각되는 것을 담아봤고 엄청 주관적으로 담았기 때문에 흔하지 않은데 포함되었거나 흔하게 쓰이는데 포함안된 것도 많으리라 생각됩니다.

오늘 포스팅하지 못한 부분에 대해서는 다음에 꼭 포스팅하는 기회가 있도록 하겠습니다!

그럼 도움이 되셨다면 좋겠습니다!

 

 

반응형

'의학용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의학용어 PCN  (0) 2020.03.06
의학용어 CTS란?  (0) 2020.03.04
의학용어 BPH, 의학용어 PDA 정리!  (0) 2020.03.03
의학용어 ABR, 의학용어 TPN  (0) 2020.03.01
의학용어 ROM, 의학용어 THR  (0) 2020.02.29

댓글

Designed by JB FAC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