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학용어 TA, 의학용어 TAB 설명글
- 의학용어
- 2020. 6. 13. 22:42
오늘은 의학용어 TA, 의학용어 TAB 두가지 의학용어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먼저 의학용어 TA에 대해서 살펴보도록 할게요.
1. 의학용어 TA
의학용어 TA는 대표적으로 두가지 의학용어의 줄임말로서 사용됩니다.
가장 흔하게 사용되는것은 'Traffic Accident', 교통사고라는 뜻이고 그 이외로는 'Tricuspid Atresia', 삼첨판 폐쇄증이라는 뜻의 의학용어가 있습니다.
교통사고는 우리나라에서 굉장히 높은 사망률을 보이며, OECD 국가내에서도 다른국가와 비교했을때 암사망률은 현저히 떨어지는반면 교통사고로 인한 사망률은 굉장히 높은 모습을 보입니다.
우리나라에서 암은 사망원인 1위에 해당하지만 오히려 암은 OECD 다른 국가와 비교했을때 10만명당 사망자수는 적은편에 속하고, 교통사고로 인한 사망자수는 높은편에 속합니다.
교통사고는 사망의 큰 원인이기도 하지만, 크고작은 외상의 원인이기도 합니다.
이에따라 응급실로 오는 환자들중에서 TA, 즉 교통사고로 인해서 오는 환자들의 비율이 굉장히 높은것입니다.
교통사고로는 치명적으로는 사망에까지 이를수있고, 작게는 골절등의 여러가지 질병 및 장해의 원인이 됩니다.
두번째로는 'Tricuspid Atresia', 삼첨판 폐쇄증이라는 뜻의 의학용어로도 사용됩니다.
삼첨판이라는것은 심장에 정상적으로 존재하는 판막입니다.
심장에는 판막이라는 구조가 있는데, 판막은 피의 정상적인 흐름을 돕는 역할을 합니다.
일종의 문이라고 생각하시면 되는데, 평상시에는 닫혀있다가 누가 지나갈 필요가 있으면 문을 열어서 지나가도록 하는것처럼 판막역시 평상시에는 닫혀있다가 혈액의 흐름이 필요할때는 문이 열려 혈액이 지나가도록 하는것입니다.
삼첨판은 오른쪽의 심방과 심실인 우심방, 우심실 사이에 존재하는 판막입니다.
하지만 삼첨판 폐쇄증이라는 선천적인 심장질환을 가지고 태어나게되면 삼첨판이 태어나면서부터 존재하지 않습니다.
이에따라 혈액의 정상적인 흐름에 방해를 받고, 여러가지 증상들이 나타나게됩니다.
우심방에서 우심실로 이동한 혈액은 폐로 이동하여 산소를 받고 이산화탄소를 배출하게 되는데요.
이러한 기능에도 문제가 생기기때문에 호흡곤란, 청색증(체내 조직에 산소 부족으로 피부가 파랗게 변하는증상), 피로감 등의 증상이 유발될수 있습니다.
선천성 삼첨판 폐쇄증의 치료로는 여러가지의 수술을 통한 교정이 필요하게됩니다.
2. 의학용어 TAB
의학용어 TAB는 굉장히 간단합니다. Tablet이라는 뜻으로 알약이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우리가 흔히 약을먹을때에는 가루로 된 가루약이 있고, 정제된 알약, 시럽 등 여러가지 종류가 존재하는데요.
Tablet은 그중 압축되어 편하게 삼킬수있도록 만들어진 알약을 의미합니다.
비슷한 용어로서 pill과 같은 용어 역시 흔히 사용됩니다.
'의학용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의학용어 CSF 의학용어 CA(암) 의학용어 RT 설명 (0) | 2020.06.16 |
---|---|
의학용어 AAA 의학용어 AA 의학용어 ABGA 설명글 (0) | 2020.06.15 |
의학용어 ESWL, 의학용어 URS, 의학용어 PNL에 대해 알아보자! (0) | 2020.05.31 |
의학용어 RCC 와 의학용어 IVP (0) | 2020.05.28 |
의학용어 IMP 의학용어 ICU 의학용어 OD (0) | 2020.05.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