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학용어 CNS, 의학용어 PNS

반응형

의학용어 CNS와 의학용어 PNS는 모두 신경계에 관련된 의학용어인데요,

같이 묶어서 설명하는것이 조금더 효율적이기 때문에 같이 설명드리도록 할게요.

 

의학용어 CNS는 'Central Nervous system' 의 줄임말입니다.

우리말로 중추신경계라는 뜻입니다.

의학용어 PNS는 'Peripheral Nervous system' 의 줄임말입니다.

우리말로 말초신경계라는 뜻입니다.

중추신경계와 말초신경계는 둘다 우리몸의 신경을 구성하는데, 그 기능과 역할에 있어서 차이가 있습니다.

 

중추신경계는 컨트롤 타워라고 보시면 되겠습니다. 뇌와 척수가 중추신경계에 해당되는데요,

이들은 중앙에서 정보를 수집하고 명령을 내리는 역할을 합니다.

 

말초신경계는 직접 뛰어서 일하는 녀석들이라고 생각하면 됩니다.

바깥에서부터 정보를 받아와서 중추신경계에 전달하고, 중추신경계로부터 명령을 받아서 바깥으로 나가는 역할을 하지요.

잠깐 예시를 들어서 설명을 해보겠습니다.

 

자주 쓰이는 예시가 있는데, 타석에 선 타자를 생각해봅시다.

 

투수가 공을 던지면 타자는 공을 보고 칠지 말지 결정합니다.

이때 타자의 판단은 모두 신경계를 통해서 이루어집니다.

타자는 먼저 공이 날아오는 것을 눈으로 보고 이 정보를 뇌에 전달합니다. (말초신경계의 역할)

뇌는 정보를 분석한뒤 칠수 있을 것으로 판단하여 치라고 명령합니다. (중추신경계의 역할)

타자는 배트를 휘두릅니다. (말초신경계의 역할)

결국 우리는 외부로부터 모든 정보를 얻어서 중추신경계인 뇌와 척수에 전달하면, 정보의 처리가 끝나고 명령이 떨어지면 움직이게 되는 것입니다.

 

말초신경계는 감각신경과 운동신경, 교감신경과 부교감신경, 자율신경계와 체성신경계가 존재합니다.

감각신경은 우리가 외부로부터 오는 감각을 뇌나 척수로 전달하는 신경을 말합니다.

차갑고 뜨거운것, 아픈 감각 등은 모두 감각신경의 역할입니다.

운동신경은 뇌의 명령을 움직임으로 시행합니다. 걷고 뛰거나 손을 움직이는 것은 모두 운동신경의 역할입니다.

이들 감각신경과 운동신경은 체성신경계에 속합니다. 자율신경계는 교감신경과 부교감신경으로 나뉘구요.

 

자율신경계와 체성신경계는 보통 수의적이냐 불수의적이냐를 두고 나누게 됩니다.

 

수의적이라는 것은 우리의 의지로 작동이 가능한 부분을 말합니다. 손발이나 머리처럼요.

불수의적이라는 것은 우리의 의지로 움직일 수 없는 부분입니다. 간이나 위, 심장 같은 장기를 말합니다.

 

즉, 외부근육들은 체성신경계로서 우리의 의지로 움직일 수 있는 말초신경계이고,

내부장기들은 자율신경계로서 우리의 의지로 움직일 수 없는 말초신경계입니다.

자율신경계의 조절은 교감신경과 부교감신경에 의해서 조절이 되는데, 이들은 보통 한가지의 장기에 반대되는 작용을 합니다.

둘다 동공에 작용한다고 쳤을때, 교감신경은 동공을 확대시키지만 부교감신경은 동공을 축소시키는 것처럼요.

서로 조절이 되는 것이지요.

 

한번 정리해보겠습니다.

의학용어 CNS = Central Nervous System = 중추신경계 = 뇌, 척수 = 정보분석과 명령전달

의학용어 PNS = Peripheral Nervous System = 말초신경계 = 자율+체성신경계 = 정보 수집과 명령시행

중추신경계는 수집된 정보를 분석하고 명령을 전달하고,

말초신경계는 정보를 수집하여 뇌에 전달하고, 뇌에서 전달된 명령을 시행하는 역할을 한다고 보시면 간단할 것 같습니다.

 

반응형

'의학용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의학용어 UA, 의학용어 KUB  (0) 2020.02.28
의학용어 LC, 의학용어 TACE  (0) 2020.02.27
의학용어 ARF, 의학용어 CSG, 의학용어 FUO  (0) 2020.02.27
의학용어 PTA  (0) 2019.12.29
의학용어 POD, 의학용어 MR  (0) 2019.12.27

댓글

Designed by JB FAC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