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학용어 POD, 의학용어 MR

반응형

1. 의학용어 POD

 

 

의학용어 POD = Post operative day

'Post = ~ 뒤의'

'Operative = 수술의'

'Day = 일'

우리나라말로 '수술 후 날짜' 정도로 번역될 수 있겠습니다.

POD #1 과 같이 명시되어 있다면 수술 후 1일차라는 뜻이고

POD #4 와 같이 명시되어 있다면 수술 후 4일이 지났다라는 뜻이 되겠습니다.

보통 수술을 하는 환자들은 입원을 합니다.

수술이 끝나고 합병증은 없는지, 수술은 잘 되었는지 반드시 관리가 필요하기 때문입니다.

수술을 하고 바로 발생하는 합병증도 있고, 몇일 후에 발생하는 합병증도 있습니다. 수술 24시간 이내에 대표적으로 발생하는 합병증, 수술 7일 이내에 발생하는 합병증이 특징적으로 있는 것이지요.

그래서 수술이 진행된 입원환자의 경우 재원일수 'HD = Hospital day' 와 더불어 'POD' 수술 후 몇일이 되었는지를 같이 명시하게 됩니다.

 

2. 의학용어 MR

 

의학용어 MR은 여러가지 의미를 가지고 있습니다.

'Mitral Regurgitation = 이첨판 역류'

'Magnetic Resonance = 자기 공명'

'Mental Retardation = 정신 지체'

이렇게 다양하게 사용이 될 수 있습니다.

먼저 '이첨판 역류' 라는 뜻으로 사용되는 MR은 심장 판막의 문제가 생긴 것입니다.

심장에는 4개의 공간이 있는데요, 우측에 우심방과 우심실, 좌측에 좌심방과 좌심실이 있습니다.

심방은 온몸에서 혈액을 받아들이는 역할을 하고, 심실은 온몸으로 혈액을 짜주는 역할을 합니다.

심방과 심실 사이에는 판막이 존재하고 있습니다.

이 판막은 아무때나 심장의 혈액이 돌아다니는 걸 막고 닫혔다가 열렸다가 하면서 혈액흐름을 조절하지요.

좌심방과 좌심실 사이에 있는 판막이 이첨판인데요, 정상적으로는 심방에서 심실로의 혈류 이동만 가능하고, 심실에서 심방으로는 혈액 이동이 있으면 안됩니다.

하지만 이첨판 역류가 생기면 좌심실에서 좌심방으로 혈액이 역류하게 되는 문제가 생깁니다. 이렇게 되면 혈액 흐름에 문제가 생기고, 부정맥과 같은 질환이 생길 수가 있지요.

'자기 공명' 이라는 뜻의 MR은 MRI 에서의 MR과 동일합니다. MRI가 자기 공명 영상이니까, I = Image 를 빼면 자기 공명이라는 뜻인 것이지요.

'정신 지체' 라는 뜻으로 사용되는 MR 도 있습니다.

'Mental Retardation' 의 줄임말이고, 뇌의 기질적인 혹은 기능적인 문제로 인해서 지적 능력이 조금 뒤쳐지는 것을 의미합니다.

반응형

댓글

Designed by JB FAC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