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학용어 CBD, 의학용어 EMR, 의학용어 MCA
- 의학용어
- 2019. 12. 23. 01:15
1. 의학용어 CBD
의학용어 CBD = Common bile duct,
우리나라 말로하면 총담관입니다. 담즙이 지나가는 통로를 담관이라고 부르는데요.
담즙은 다른말로 쓸개즙이라고 부르고, 우리몸에서 지방의 분해와 소화에 도움을 주는 물질입니다. 이 담즙은 간에서 생성이 되어서 쓸개에 저장이 되어 있다가, 담관을 통해서 십이지장으로 분비가 됩니다.
우리 몸의 소화기관은 크게 입에서부터 식도를 지나 위, 십이지장, 소장과 대장을 지나 항문으로 이어지게 됩니다.
간과 쓸개, 췌장과 같은 기관들은 직접적으로 음식물이 지나가는 기관은 아닌 것이지요.
이들은 모두 소화에 영향을 미치고 소화에 도움을 주는 기관들이지만 직접적인 통로는 아닌 것입니다.
간에서는 Hepatic duct = 간관, 쓸개에서는 Cystic duct = 쓸개관 이 나와서 이 둘이 합쳐지는 관이 바로 담관입니다.
간에서 Hepatic duct 를 통해서 쓸개즙이 나오고 Cystic duct 를 통해 쓸개로 들어가서 저장이 되어 있다가, 다시 Common bile duct 를 통해서 십이지장으로 분비되는 원리이지요.
요로결석처럼 이 관에 돌이 생겨서 막히게 되면 통증이나 불편감을 느낄 수 있고, 빌리루빈의 배설이 잘 되지 않기 때문에 피부나 공막이 노래지는 황달 증상이나 구역감, 구토, 피로감 등의 증상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2. 의학용어 EMR
의학용어 EMR = Electronic medical record
전자 의무 기록이라는 뜻입니다.
예전에는 환자에 대한 기록들을 문서로 남겼다면, 지금은 조금 더 용이하게 환자의 진찰을 돕기 위해 전자 의무 기록을 사용합니다.
병원에 오래 입원하는 환자의 경우 예전에 진단받았던 병명이나 예전의 검사 기록들, CT나 X-ray 와 같은 영상 사진들은 현재의 진단과 치료에 있어서도 굉장히 중요하고 꼭 필요합니다.
단순히 지금 환자가 호소하는 불편함을 해소하는 것을 떠나서 앞으로의 예방적인 측면과 치료적인 측면에서도 의무기록은 반드시 필요한 것이지요.
전자 의무 기록은 당연히 유출될 수 없고 조심히 다뤄지며 지금도 많은 환자의 진단과 치료에 도움이 되고 있습니다.
3. 의학용어 MCA
의학용어 MCA = Middle cerebral artery
우리나라 말로 번역하면 중간 대뇌동맥 정도로 번역될 수 있겠습니다.
물론 ACA = Anterior cerebral artery = 전 대뇌동맥
PCA = Posterior cerebral artery = 후 대뇌동맥
역시 존재하고, 이외에도 뇌 안에는 여러가지 다양한 동맥들이 있습니다.
이 중간 대뇌동맥은 경동맥의 3가지 분지중에서 굉장히 큰 분지에 해당하고, 차지하는 영역도 넓습니다.
기본적으로 동맥은 피를 공급하는 역할을 합니다. 폐동맥은 폐에 혈액을 공급하는 역할을 하고, 폐정맥은 폐에서 혈액을 받아오는 역할을 하는 것이지요.
마찬가지로 중간 대뇌동맥도 대뇌에 혈액을 공급하는 역할을 합니다.
중간 대뇌동맥은 전두엽, 측두엽, 두정엽 등에 혈액 공급을 담당하고 있고, 우리 몸의 감각이나 운동에 관여하며, 말하는 기능을 담당하는 뇌에도 혈액 공급을 하게 됩니다.
따라서 이 중간 대뇌동맥에 경색이 생기게 되면, 쉽게 말해서 뇌경색이 생기게 되면,
몸의 한쪽이 마비가 되거나 감각을 못느낄수 있고, 말하는게 불편해지는 증상이 발생할 수 있는 것입니다. 뇌경색은 뇌에 혈액 공급을 하는 동맥이 막혀서 혈액 공급이 원활하지 못하게 되고, 그에 따라 여러가지 증상이 발생하는 것입니다.
이렇게 뇌경색이 발생하는 경우에는 언제 증상이 발생했는지에 따라서 치료가 달라지게 되고, 증상 발생시 최대한 빠른 시간내에 병원을 찾아서 치료받는 것이 중요하겠습니다.
'의학용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의학용어 QD, 의학용어 BID, TID, QID, 의학용어 PRN (0) | 2019.12.26 |
---|---|
육종암과 골육종암 설명글 (0) | 2019.12.23 |
의학용어 TAH&BSO, 의학용어 PID (0) | 2019.12.21 |
의학용어 EGD, 의학용어 MDD, 의학용어 FBS (0) | 2019.12.21 |
의학용어 ICH, 의학용어 DOE, 의학용어 BPH (0) | 2019.12.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