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학용어 EGD, 의학용어 MDD, 의학용어 FBS

반응형

1. 의학용어 EGD

 

의학용어 EGD = Esophagogastroduodenoscopy 입니다.

E = Esophagus = 식도 = Esophago 로 줄여 표현했고,

G = Gastro = 위 입니다. 위는 Stomach 이라고도 부르고 형용사처럼 쓸때는 Gastric 등의 용어를 사용하기도 합니다.

D = Duodenum = 십이지장 = Duodeno 로 줄여 표현했습니다.

Scopy = 망원경,

식도와 위와 십이지장을 망원경 같은 걸로 본다는 표현이고, 결국 EGD 라는 의학용어는 위식도내시경을 의미합니다.

내시경 해보신분도 있을거고 안해보신분도 있을겁니다. 저도 해보진 않았습니다만, 내시경은 수면내시경이 있고 비수면내시경도 있는데요.

수면내시경의 경우 자고 일어나면 내시경이 끝나 있다고 하더군요. 비수면내시경의 경우에는 국소적으로 일부만 마취한 뒤에 진행된다고 합니다.

우리 몸의 소화기관은 입을 통해 식도를 지나 위를 지나 십이지장을 지나 소장을 지나 대장을 지나 직장을 지나 항문을 통해 변으로 배설이 된답니다.

그중에서 윗부분인 식도와 위와 십이지장을 보는것이 바로 EGD 입니다!

당연히 항문을 통해서 넣는 것보다는 입을 통해서 넣는게 빠르겠죠? 입에 카메라가 달린 관을 집어넣고 쭉쭉 밀어넣어서 십이지장까지 관찰하는 것입니다.

내시경을 하는이유로는 위나 십이지장, 식도 쪽의 이상이 있는가 의심이 되기 때문일 것입니다.

암이 의심이 될 수도 있을 것이고, 뭔가 피가 나고 있는 것 같아서 출혈 부위를 찾기 위해 내시경을 할 수도 있고, 위나 식도에 문제가 있을만한 증상을 가지고 있는 환자일 수도 있겠지요.

아니면 정기검진으로 내시경을 시행해서 용종이나 암이 있는지 확인해 볼수도 있겠습니다.

 

2. 의학용어 MDD

 

 

의학용어 MDD = Major depressive disorder

주요우울장애라고 합니다. 쉽게 말해서 우울증이라고도 볼 수 있겠습니다.

누구나 우울한 일이 있을 수 있고, 우울한 기분을 느낄 수 있습니다. 그렇지만 주요우울장애라고 질병적으로 명시해 놓은 것은 기준이 있기 때문입니다.

하루종일 우울한 기분을 몇주이상 가지고 있는다면 일상생활에 굉장한 지장을 미칠 것입니다. 그렇다면 주위에서 도움을 주어야 할 것이고, 질병으로도 정의를 해 놓은 것이지요.

보통 주요우울장애는 2주 이상의 기간동안, 우울한 기분과 더불어서 의욕이나 흥미, 관심의 저하,

수면 저하, 식욕이나 체중의 감소, 불안이나 초조한 감정, 자신이 쓸모없다는 생각 등등의 여러가지 증상을 동반할 경우 진단할 수 있습니다.

 

 

3. 의학용어 FBS

 

 

의학용어 FBS = Fasting blood sugar 입니다.

공복 혈당이라는 것이지요. 우리가 아무것도 안먹었을 때 피속에 Sugar = 설탕 이 얼마나 존재하냐입니다.

사실 설탕이라기보다는 포도당이 정확한데요, 그 이유는 FBS 를 측정하는 이유는 혈당량을 체크하기 위함이기 때문입니다.

당뇨 환자의 경우 혈당을 주기적으로 체크해서 잘 조절이 되고 있는지를 감시해야 하고, 당뇨병 환자중에 심각한 질환을 일으킬 수 있는 경우도 있기 때문에 혈당을 쉽게 보여주는 것이 FBS 인 것입니다.

근데 밥을 먹고나면 혈당이 올라가겠지요? 왜냐면 탄수화물의 분해산물이 포도당이고 우리는 탄수화물을 섭취하니까요.

그래서 공복 혈당보다 식후 혈당이 높고, 공복 혈당의 기준으로 FBS 라는 용어를 만들었습니다.

그냥 어떤 사람의 혈당이라고 하면 식후인지 공복인지 모르니까요.

 

오늘은 의학용어 EGD, MDD, FBS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

다음에도 다른 의학용어를 가지고 포스팅 하는 시간 가지도록 하겠습니다!!

반응형

댓글

Designed by JB FAC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