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학용어 SAH, 의학용어 SDH

반응형

1. 의학용어 SAH

 

SAH 는 Subarachnoid hemorrhage의 줄임말입니다.

한글로는 지주막하 출혈이라고 부르게 됩니다. Arachnoid가 지주막이고 Sub가 ~ 아래라는 의미를 가지므로,

지주막 아래 출혈 = 지주막하 출혈 이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그래서 지주막이 어딜까요?

우리의 머리를 살펴보면, 머리의 가장 바깥쪽인 피부와 두개골을 제외하면, 뇌를 둘러싸고 있는 세 개의 막이 있습니다. 경막, 지주막, 연막입니다.

경막이 가장 겉에 있고, 연막이 가장 안에 있지요. 그래서 지주막하 출혈이라고 함은 지주막과 연막 사이 공간에 출혈이 생긴 것을 의미합니다.

이쪽 지주막에 출혈이 생기는 이유는 다양하지만 가장 흔한 원인으로는 뇌 동맥류의 파열입니다. 동맥류라고 하는 것은 동맥의 벽이 약해지면서 동맥의 강한 압력 때문에 약해진 벽이 팽창하게 되고 동맥벽에 주머니 모양의 동맥류를 만들게 됩니다.

이 동맥류가 파열이 되면 출혈이 발생하겠지요. 이렇게 뇌에 생긴 동맥류가 파열되면서 지주막 아래 공간에 출혈이 발생하는 것입니다.

지주막하 출혈은 CT 촬영을 했을때 특징적인 모양을 보이게 되므로, 지주막하 출혈이 의심되는 증상을 보이는 환자의 경우에는 CT 촬영을 하는 것이 중요하겠습니다.

증상으로는 아무래도 뇌쪽에 출혈이 생기다보니까 극심한 두통이 나타나는 경우가 대표적이고, 어지러움을 느끼기도 하며, 토할 것 같은 증상을 보일 수도 있습니다.

출혈이 심할 경우 사망에 이르는 비율도 꽤나 높기 때문에 증상이 보일 시에는 바로 병원을 찾는 것이 중요하고, 동맥류 발생의 위험을 높일 수 있는 흡연이나 음주, 고혈압 등은 예방적으로 피해주셔야 합니다.

2. 의학용어 SDH

 

 

SDH = Subdural hematoma 입니다.

한글말로 경막하 혈종이지요.

아까 뇌 두개골 안에는 경막, 지주막, 연막이 있다고 말씀드렸지요? 이번에는 경막하 이므로 경막과 지주막 사이에 혈종이 생기는 것입니다.

혈종이 생겼다는 말은 피의 덩어리가 고여있다고 생각하시면 쉽습니다. 경막하 혈종의 경우에는 경막외 혈종인 Epidural hematoma와 자주 비교하게 되는데요,

경막외 혈종의 경우에는 경막과 두개골 사이에 생기는 출혈을 의미합니다. 경막하 혈종인 SDH보다 더 바깥쪽에 생긴다는 것이지요.

경막외 혈종과 경막하 혈종 모두 교통사고와 같은 외상에서 흔하게 생길수가 있습니다. 어딘가에 부딪혔을 때 뇌 안에서 출혈이 일어나게 되고, 출혈이 일어난 부분이 응고되면 피떡이 생길 것이고, 이 피떡이 어떠한 공간에 생겼냐에 따라서 두개의 혈종을 구분하게 됩니다.

경막하 혈종의 경우 피떡이 지게 되면서 뇌 안의 압력을 높이기 때문에 문제가 되고, 뇌 압력을 줄이기 위해 배액이 필요하거나 압력을 낮춰주는 약물의 사용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

경막하 혈종이 발생했을 때 나타날 수 있는 증상은 여러가지가 있겠습니다.

의식이 소실되거나 의식이 있더라도 혼란스러워 하는 모습을 보일 수가 있고, 몸을 뜻대로 움직이기 힘들어하거나 마비나 경련 발작 등의 문제 또한 나타날 수 있습니다. 뇌 안의 여러가지 조직들이 손상되면서 발생할 수 있는 문제들이 주로 나타나는 것이지요.

경막하 혈종이나 경막외 혈종 모두 뇌 CT 촬영을 통해서 전형적인 모습을 보이기 때문에 증상을 보이는 이러한 외상 환자들의 경우 빨리 CT를 찍고 증상 조절에 필요한 행동을 취해주는 것이 중요하겠습니다.

 

 

 

 

반응형

댓글

Designed by JB FAC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