뇌동맥류 코일 색전술 간단하게 설명

반응형

안녕하세요, 오늘은 뇌동맥류 코일 색전술이라는 뇌동맥류(Brain Aneurysm)의 비침습적 치료방법에 대해서 간단하게 설명드리는 시간을 가져보려고 합니다.

색전술(Embolization)은 암을 치료하거나 객혈을 치료할때 흔히 사용되는 방법입니다.

암세포들도 혈액공급을 받고 살아가기때문에 화학물질을 이용하여 암세포로 가는 혈액공급을 차단하는 방법인 TACE(Transcatheter Arterial Cheomembolization)은 간암을 치료하는 대표적인 색전술을 이용한 방법이구요.

객혈이 잘 멈추지 않을때 시행하는 기관지동맥색전술(Bronchial Artery Embolization)은 출혈을 멈추는데 흔히 사용될수있는 방법입니다.

 

이처럼 색전술은 여러분야에서 혈류공급을 차단하는 방법으로 많이 사용되고 있습니다.

코일색전술은 코일을 이용하여서 뇌동맥류로 가는 혈류공급을 차단하는 비침습적 치료방법입니다.

뇌동맥류는 뇌의 동맥에서, 동맥벽의 약화로인해서 풍선 모양으로 혈관이 부어오른것을 말하는데, 뇌동맥류는 그 자체로는 보통 증상을 유발하지않지만 파열될시에는 뇌출혈을 일으키고 치명적인 결과를 초래할수 있으므로 위험합니다.

원발성 지주막하출혈(SAH)의 가장 흔한 원인이 뇌동맥류 파열입니다.

 

아래 사진을 보면 뇌 동맥에서 부풀어 오른 동맥류를 코일색전술로 막아버린 모습을 화살표 부분에서 확인하실수 있습니다.

출처 : Wikimedia Commons

출처 : commons.wikimedia.org/wiki/File:Coiled_PCA_residual_aneurysm_arteriogram.JPG

 

File:Coiled PCA residual aneurysm arteriogram.JPG - Wikimedia Commons

 

commons.wikimedia.org

 

그럼, 본격적으로 뇌동맥류 코일 색전술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1. 뇌동맥류 코일 색전술이란?

 

뇌동맥류 코일 색전술은 뇌동맥류를 치료하는 비침습적인 방법이라고 말씀드렸습니다.

비침습적인 이유는 두개골을 열어서 뇌로 접근하는 방법이 아니라 혈관조영술을 통해서 대퇴동맥(Femoral Artery)으로 접근하기 때문입니다.

실제로 시행하는 방법은 복잡하고 어렵지만 글로 설명드리는만큼 간단하게 명료화하여 설명드리도록 하겠습니다.

 

기본적인 방법은 이렇습니다.

혈관이 있고 혈관 중간에 벽이 부풀어 튀어나온 동맥류가 존재합니다.

이때 치료의 목적은 동맥류가 파열하지 않도록 동맥류로 혈류의 흐름이 발생하지 않도록 막는것입니다.

그렇기때문에 동맥류 안쪽으로 용수철처럼 된 둥근 코일을 넣어서 동맥류의 입구부분(정상 혈관과 연결된 부분)을 막아버리는 것입니다.

 

이렇게 입구부분을 막은뒤에는 스텐트를 삽입하여 코일이 동맥류 안쪽에서 벗어나지 않도록 제 위치에 있게끔 고정하도록 합니다.

이렇게되면 풍선처럼 부푼 동맥류로 혈류가 가지 않기때문에 동맥류가 파열할 위험성이 사라집니다.

이때 대퇴동맥을 통해서 뇌의 동맥류까지 접근하기 위해서는 긴 카테터가 필요하고, 동맥류로 접근할때까지 특수 조영제를 통해 혈관을 X-ray 모니터로 관찰하면서 접근을 용이하도록 합니다.

이 과정을 거쳐 다리에서 대동맥, 심장 및 목동맥 등을 거쳐 뇌동맥류까지 도달하도록 합니다.

 

글로 설명하는 것은 굉장히 쉽게 했지만 실제 과정은 어렵고 실력이 필요한 과정입니다.

결국 요약하면 대퇴동맥(Femoral Artery)을 통해 뇌의 혈관까지 카테터로 접근하고, 동맥류 내부에 코일을 넣어 동맥류로 향하는 혈류를 막은뒤 스텐트로 고정하는 과정이 뇌동맥류 코일 색전술이라고 할수있겠습니다.

뇌동맥류 코일 색전술을 시행할지, 동맥류를 그대로 관찰할지, 수술적으로 개입할지는 환자의 전반적인 상태와 파열의 위험성을 복합적으로 고려하여 결정하게됩니다.

말씀드린것처럼 동맥류는 파열하지 않을때는 증상을 유발하지 않지만 파열시에는 큰 문제를 일으킬수 있으니까요.

 

2. 뇌동맥류 코일 색전술의 합병증

 

다른 여타 수술이나 시술과 마찬가지로 뇌동맥류 코일 색전술 역시 다양한 합병증을 유발할수 있습니다.

기본적으로 방사선이나 조영약품을 사용하기때문에 이에 대한 알러지 반응이 있거나 방사선 노출이 위험한 임산부라면 금기증에 해당할 것이고.

항응고제 등을 복용하고 있는 경우에도 출혈의 위험성이 크므로 절차 시행전에 복용중단이 필요합니다.

뇌동맥류 코일 색전술 자체가 뇌와 뇌혈류를 건드리는 절차이기때문에 이에관한 여러 문제가 생길수 있는데요.

출혈이나 혈전증, 뇌 혈종, 감염 및 뇌동맥류의 파열, 뇌동맥류의 재발, 의식저하를 비롯한 다양한 크고작은 합병증들에 노출될수 있습니다.

물론 이러한 부분들은 시행전에 모두 설명되어야 하고 수술중 생길수있는 합병증에 대한 대비는 선행되어야 하며, 그 가능성에 대해서도 설명해야겠지요.

 

뇌동맥류 코일 색전술은 뇌동맥류의 치료에 있어서 핵심적인 방법입니다.

효과적이고 비침습적이라는 장점이 있기때문인데요. 최대한 간단하게 설명해보려고 했으나 글로 풀어서 설명하다보니 이해가 잘 되지 않는 부분이 있으시리라 생각됩니다.

이에 대한 부분들은 영상이나 이미지를 참고하시면 더 쉽게 이해하실수 있으니까 관련 문헌이나 사진, 영상을 참고하시면 감사드리겠습니다.

반응형

댓글

Designed by JB FAC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