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도이완불능증(아칼라지아), Achalasia
- 의학정보상식
- 2020. 10. 18. 08:25
안녕하세요, 오늘은 식도이완불능증, 또는 아칼라지아(Achalasia)라고 부르는 식도질환에 대해서 설명드리려고 합니다.
식도이완불능증은 희귀한 질환으로서 경구로 섭취한 음식물이 식도에서 위로 잘 넘어가지 않게되는 질환을 말합니다.
식도에 존재하는 신경의 손상으로 인해서 식도의 이완기능이 정상적으로 작동하지 않고 이때문에 식도에서 위로 음식물을 짜주지 못해서 음식물이 식도에 저류되는 증상이 나타납니다.
이때문에 음식물의 역류가 발생하기도 하고, 위식도역류질환(GERD)과 유사한 증상을 보일수 있어서 역류성식도염으로 오인하게 되는 경우도 생깁니다.
그럼 식도이완불능증에서 나타나는 증상들과 진단검사방법, 그리고 치료방법에 대해서 하나하나 자세하게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1. 식도이완불능증의 증상
식도이완불능증은 역류성 식도염과 유사한 양상으로 나타나기때문에 증상역시 비슷할수 있는데요.
역류성 식도염은 위산이 식도로 역류하는 질환인 반면에, 식도이완불능증은 식도에서 음식물의 역류가 일어난다는 차이점이 있습니다.
식도이완불능증의 증상들은 점진적으로 나타나서 시간에 따라 악화되는 특징을 보이는데요.
식도암과 같은 기질적 질환에서 고형식(고체로 된 음식)의 섭취가 어려워지다가 점점 유동식(액체로 된 음식)의 섭취가 어려워지는 반면에 식도이완불능증에서는 고형식과 유동식에 대한 섭취가 모두 어렵습니다.
이에 따라서 식도이완불능증에서는 다음과 같은 증상들이 나타납니다.
1) 삼키기 어려운 증상인 삼킴곤란으로 음식이나 액체가 목구멍에 걸려있는 듯한 느낌
2) 음식이나 침이 역류하는 느낌으로 신맛이 느껴지는 증상
3) 역류성 식도염에서와 유사한 양상의 타는듯한 가슴통증
4) 야간에 심해지는 기침 및 구토
5) 소화가 되지 않는 음식물이 넘어오는 증상
6) 음식물을 급하게 먹을때 악화되는 삼킴장애 및 체중감소
7) 음식물이 명치에 걸리는 듯한 증상
위와 같이 다양한 증상들이 나타날수 있는데요.
이런 증상들은 보통 음식물이 아래로 잘 내려가지 못하는 듯한 느낌이 주가되며, 식도에서 위로 음식물이 넘어가지 않기때문에 빨리 음식을 먹을수록 더 증상이 심하다고 느낄수 있습니다.
올바르게 소화가 일어나지 않기때문에 구토나 체중감소와 같은 증상들이 나타나기도 하구요.
식도이완불능증은 식도에 있는 평활근의 운동이 제대로 일어나지 않으면서, 휴식시에 식도 하부 괄약근의 압력이 높아지고 연하 시에는 이완이 되지 않으면서 발생한다고 생각하시면 되겠습니다.
2. 식도이완불능증의 진단과 치료
식도이완불능증의 진단은 보통 임상증상과 함께 식도조영술, 식도내압검사가 사용됩니다.
위식도내시경 역시 진단에 도움을 줄수 있구요.
식도조영술은 바륨을 포함한 음식이나 액체를 삼킨뒤에 X-ray를 통해서 식도로 음식물이 내려가는 과정을 보는것인데, 이를통해서 어느 부분에서 잘 내려가지 않는지를 확인할수 있고.
특이적으로 식도이완불능증에서는 식도조영술 상 Bird-Beak, 새 부리와 같은 모양이 나타납니다.
식도이완불능증의 진단에서 가장 중요한 검사방법은 식도내압검사인데요.
식도내압검사는 우리가 음식물을 삼키고 내려갈때 하부식도괄약근이 얼마나 잘 이완하고 열리는지를 볼수있는 검사방법입니다.
식도내압검사를 통해서 식도의 연동운동이 잘 보이지 않고, 동시에 수축하는것이 관찰되며 낮고 넓은 진폭의 압력파가 나타나는 것을통해서 식도이완불능증을 진단할수 있습니다.
한편, 식도이완불능증의 치료는 증상을 호전시키고 일상생활의 불편감을 개선할수있는 여러가지 방법들이 고려될수 있습니다.
내과적인 방법과 수술적인 방법을 고려할수 있는데, 먼저 내과적인 방법부터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1) 내과적인 방법
내과적인 방법으로는 보톡스(Botulinum Toxin)를 주입하는 방법이 있습니다.
보톡스를 내시경적 바늘을 이용해서 식도에 주입하면 근육이 이완되어 증상의 호전에 도움이 되지만.
반복하면 좋지않고 보톡스 주입의 효과는 6개월 이상 지속되지 않습니다.
보톡스 주입 이외에도 내과적방법으로 칼슘채널블로커나 나이트레이트(Nitrate)를 이용할수도 있습니다.
이 약물들은 근육이완의 효과가 있지만 두통과 같은 부작용이 있을수있고 단기적인 증상 호전만 기대할수 있습니다.
2) 수술적인 방법
식도이완불능증의 TOC(최우선 치료)는 풍선확장술입니다.
풍선확장술은 내시경을 통해서 식도 괄약근쪽에 풍선을 넣은후 입구를 확장시켜서 식도에서 위로 원활하게 음식물이 넘어가도록 하는 비수술적 방법입니다.
1/3 정도의 환자군에서는 5년 이내에 다시 풍선확장술을 시행해야 합니다.
수술적인 방법으로 식도 근절제술도 있습니다.
식도 근절제술은 식도 하부에 위치한 근육을 제거함으로서 식도에서 위로 음식물이 원활하게 넘어가도록 유도합니다.
그러나 식도하부괄약근의 약화로 인해서 오히려 GERD(위산의 식도로의 역류)의 위험이 높아질수 있다는 단점이 있습니다.
오늘은 식도이완불능증, 아칼라지아라는 질환에 대해서 간단하게 다뤄보았습니다.
증상과 양상이 GERD(역류성 식도염)와 비슷할수있지만 더 희귀하고 구체적인 병태생리가 차이가 있기때문에 구별하여 알아두시면 좋을것같습니다.
정리해드리자면 식도의 이완 불능으로 인해서 음식물이 식도에서 위로 잘 넘어가지 않고 식도에 고여있는 질환이라고 생각하시면 되고.
이로 인해서 음식물의 역류, 구토 및 가슴통증 등의 증상이 나타날수 있습니다.
풍선확장술이 가장 우선적인 치료방법이며 약물적 치료나 보톡스 주입, 식도 근절제술 등이 치료방법으로 사용될수 있습니다.
'의학정보상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소변 자주 마려움 이유와 해결 (0) | 2020.10.20 |
---|---|
바렛식도(Barrett's Esophagus)의 증상과 위험성에 관하여 (0) | 2020.10.19 |
비파열성 뇌동맥류 위험한가요? (0) | 2020.10.07 |
뇌동맥류 코일 색전술 간단하게 설명 (0) | 2020.10.06 |
호산구 증가증, 호산구 수치가 높으면? (0) | 2020.10.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