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파열성 뇌동맥류 위험한가요?
- 의학정보상식
- 2020. 10. 7. 07:24
안녕하세요, 오늘은 비파열성 뇌동맥류와 관련하여 전반적인 궁금증에 대해서 답변해드리려고 합니다.
뇌동맥류란 대뇌동맥의 벽이 약해지면서 비정상적으로 넓어지고 확장되어 풍선처럼 부풀어오른것을 말하는데, 동맥벽의 약한 부분을 포함하기때문에 터질수있고 터질경우 생명에 치명적일 수 있습니다.
의학정보에 대한 접근성이 높아지면서 이런 정보들에 다양하게 노출이 되면 두려움도 가중되고 아무래도 걱정이 될수밖에 없는데요.
비파열성 뇌동맥류란 어떤것이고 위험한지, 치료는 어떤식인지에 대해서 하나하나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비파열성 뇌동맥류는 뇌동맥류중 파열이 일어나지 않은 뇌동맥류를 말합니다.
뇌동맥류는 파열되기 전에는 보통 아무런 증상을 유발하지 않는 경우가 많은데요.
이때문에 다른 질환을 위한 검사를 하다가 우연하게 발견되는 경우가 많고, 뇌 CT나 뇌 MRI 등을 찍다가 발견되는 경우가 많다고 해요.
이런 부분에 대해서 아무런 생각이 없다가 갑자기 뇌동맥류가 생겼다는 말을 들으면 걱정되고 혼란스러울수밖에 없겠죠.
뇌동맥류는 많은경우 증상을 유발하지 않지만 크기가 크거나 주위 신경을 누르는 'mass effect' 가 있을경우 여러 증상을 유발하곤 합니다.
다음과 같은 증상들이 나타날수 있습니다.
1) 두통 및 어지럼증
2) 물체가 두개로 보이는 복시, 안구통증 및 시력손상
3) 경련
물론 이런 증상들도 흔하게 나타나지 않고 사람에 따라서 나타날수있는 증상도 다양하며, 다른 질환에 의한 증상과 쉽게 오인할수 있으므로 증상만으로 판단하긴 몹시 어렵습니다.
다만 이런 증상들이 나타날수 있다는것에 대해서만 알아두시면 되겠습니다.
비파열성 뇌동맥류에 대해서 걱정을 해야 하는 부분은 뇌동맥류가 파열하는 경우에 대해서입니다.
뇌동맥류가 파열할지, 파열하지 않을지는 뇌동맥류의 크기나 위치, 환자의 전반적인 상태 등 복합적인 요소가 관여합니다.
뇌동맥류의 크기는 보통 12mm 이상인 경우 크기가 크다고 말할수있고, 파열의 위험성이 높다고 할수있습니다.
직경 7mm 이하의 뇌동맥류는 작은편에 속하며, 7-12mm 정도의 뇌동맥류는 중간 크기에 해당합니다.
뇌동맥류의 위치가 후방에 위치하는 경우 파열의 위험성이 높아서 척추동맥이나 후방교통동맥에 생긴 동맥류의 경우 더 파열의 확률이 높습니다.
또한 흡연이나 고혈압, 죽상동맥경화증, 동맥류 파열의 가족력이 있는경우 등 환자의 여러가지 요소들도 뇌동맥류 파열의 위험성을 높일수 있습니다.
결국 뇌동맥류의 크기와 위치, 환자의 요소들이 뇌동맥류 파열의 위험성을 결정짓는 요소라고 볼수있습니다.
비파열성 뇌동맥류의 치료에 있어서 선택지는 여러가지가 존재합니다.
경과관찰 및 색전술, 수술적 방법등이 존재하는데요.
선택지들을 하나하나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1. 경과관찰
경과관찰은 지금당장 뇌동맥류가 파열할 가능성이 낮고, 지켜보는 것이 더 이익이 많을것이라고 생각되는 경우에 시행할수 있습니다.
주기적으로 뇌동맥류가 커지거나 위험해 보이지는 않는지 관찰하면서 흡연 및 고혈압 등 파열의 위험요인에 대해서 조절한다고 생각하시면 되겠습니다.
2. 비파열성 뇌동맥류 코일색전술
비파열성 뇌동맥류 코일색전술은 비침습적인 치료방법으로서 뇌를 열고 수술하는 것이 아니라 마취하에 혈관을 통해서 치료하는 방법입니다.
허벅지 대퇴동맥을 통해 긴 카테터를 넣어서 뇌동맥류 부위까지 진입한후, 뇌동맥류 안쪽을 코일로 채워 혈류 공급이 이루어지지 않도록 막아서 파열의 위험성을 막는 것입니다.
뇌동맥류로 혈류공급이 가지 않도록 하면 파열의 위험성이 낮아지기 때문입니다.
3. 수술적 방법
전신마취하에 두개골의 일부를 절개하여 직접 동맥류 부위에 접근하는 방법입니다.
클립을 통해서 뇌동맥류와 정상 혈관의 혈류 이동부위를 차단하는 방법이 있고.
뇌동맥류와 주위 혈관을 아예 막은뒤에 우회혈관을 이용해서 혈관이 원래 순환방향이 아닌 우회 순환방향으로 이어지도록 하는 수술방법이 있습니다.
두 방법 모두 뇌동맥류로의 혈류공급을 차단할수 있는 수술방법에 해당합니다.
오늘은 비파열성 뇌동맥류에 대해서 간단하게 알아보았습니다.
정리해보자면 비파열성 뇌동맥류는 파열이 일어날시 위험할수 있고, 파열의 위험성은 뇌동맥류의 크기 및 위치, 환자상태에 따라서 결정된다는 점과 경과관찰 및 수술적 방법으로 치료할수 있다는 것을 알아두시면 좋겠습니다.
'의학정보상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바렛식도(Barrett's Esophagus)의 증상과 위험성에 관하여 (0) | 2020.10.19 |
---|---|
식도이완불능증(아칼라지아), Achalasia (0) | 2020.10.18 |
뇌동맥류 코일 색전술 간단하게 설명 (0) | 2020.10.06 |
호산구 증가증, 호산구 수치가 높으면? (0) | 2020.10.05 |
백혈구 종류와 각각의 기능 - 호중구, 호산구, 호염기구... (0) | 2020.10.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