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렛식도(Barrett's Esophagus)의 증상과 위험성에 관하여

반응형

안녕하세요, 오늘은 위식도역류질환(GERD), 역류성 식도염의 합병증으로 나타날수있는 바렛식도에 대해서 증상과 위험성에 관하여 설명드리려고 합니다.

바렛식도는 쉽게말해서 식도 하부의 점막이 비정상적인 변화를 거쳐 암의 전단계로 발전하는 것을 말합니다.

바렛식도 자체는 종양이 아니기때문에 특별한 증상이나 위험성이 있을 확률이 적지만, 바렛식도는 이후 식도 선암으로 발전할 확률이 있기때문에 주의깊은 관리가 필요한 것입니다.

그럼 바렛식도에 대해서 조금더 자세하게 하나하나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1. 바렛식도의 증상

 

바렛식도는 식도 하부의 점막이 조직학적인 변화를 거치면서 나타납니다.

정상적인 식도 하부 점막은 편평상피세포(Squamous Epithlium)로 구성되지만 바렛식도에서는 원추상피(Columnar Epithelium)로의 변화가 이행되고.

식도점막세포에 고블렛 세포(Goblet Cell)가 늘어나면서 마치 소장이나 대장의 점막과 같이 변화하게됩니다.

이처럼 식도하부점막이 조직학적으로 변화하여 전암성 병변이 되고(암의 전단계), 더 진행될 경우에는 암성 병변으로 이행될수도 있습니다.

바렛식도는 역류성 식도염의 합병증으로서 나타날수 있다고 말씀드렸는데요.

역류성 식도염은 위산이 식도로 역류하게되면서 식도를 지속적으로 자극하게되고, 이렇게 위산과 염증에 반복적으로 식도가 노출되면 식도점막의 변화가 생길수 있습니다.

이때문에 바렛식도는 역류성 식도염과도 유사한 증상을 보입니다.

 

바렛식도에서는 빈번하고 지속적인 타는듯한 가슴통증(Heartburn)이 나타날수 있고.

삼키는데 불편감을 겪는 증상인 삼킴곤란(Dysphagia)이나 삼킬때 느껴지는 통증(Odynophagia)도 생길수있습니다.

이렇게 잘 못삼키다보니까 자연스럽게 체중감소로도 이어질수 있구요.

심한경우 토혈(음식물과 피를 토하는 증상)증상도 나타날수 있습니다.

 

그러나 위와 같은 증상들은 암의 전구병변인 바렛식도에서는 나타나지 않을수도 있습니다.

바렛식도에서는 위식도내시경 소견상 변화가 관찰될수 있기때문에 정기적인 검진을 하다가 자연스럽게 발견되는 경우도 존재합니다.

만약 위식도내시경을 하다가 바렛식도와 같은 전암성 병변이 의심되는 것이 관찰되는 경우, 조직검사를 통해서 병변부위를 떼어낸후 검사하여 조직학적 변화를 관찰하고, 바렛식도를 진단할수 있습니다.

 

2. 바렛식도는 위험한가요? 치료는?

 

바렛식도 안에서도 중증도 및 진행도에 따라서 단계가 나뉩니다.

세단계로 나눌수가 있는데요.

1) No Dysplasia (이형성이 없는경우, 암의 전구병변이 아님)

2) Low Grade Dysplasia (암의 전구병변이지만 초기단계)

3) High Grade Dysplasia (심각한 경우)

 

이형성이 없는경우, 1번에 해당하는 바렛식도의 경우 보통 주기적인 관찰과 생활습관의 교정, 약물적 치료를 시행합니다.

암으로 발전할 가능성이 당장 낮기때문에 주기적으로 내시경검사 및 조직검사로 암성 병변은 없는지, 더 악화되거나 진행되지는 않았는지 검사하는 것이 필요하고.

암으로의 이행의 위험요인인 흡연, 카페인, 음주, 자극적인 음식 등을 피하고 생활습관의 교정을 해야합니다.

또 양성자 펌프 억제제와 같은 약물적인 치료를 통해서 위산의 노출을 피하며, GERD(역류성 식도염)를 치료하는것도 필요합니다.

만약 이형성이 존재하지만 초기단계인 경우, 2번에 해당한다면 주기적인 관찰과 더불어서 조치를 취할수도 있습니다.

다만 주기적인 관찰의 간격을 더 짧게하여 더 자주 검사해야 하고.

내시경적으로 손상된 세포를 제거하거나 방사선요법, 냉동요법 등을 통해서 비정상 세포들을 제거하는 방법을 고려해볼수 있습니다.

 

이형성이 많이 진행되어 암으로 진행될 확률이 높은 3번의 경우 즉각적인 조치가 필요합니다.

내시경적 절제나 방사선치료, 냉동요법 이외에도 수술적으로 식도의 병변을 제거할수있고, 재발이 가능하기때문에 주기적으로 검사를 통해서 관찰하는 것이 필요하겠습니다.

 

이처럼 바렛식도는 그 안에서도 단계가 나눠지며 단계에 따라서 암으로 진행될 확률에는 차이가 있습니다.

바렛식도는 선암으로 진행할 확률은 낮지만, 진행될수 있고, 식도암은 전이를 잘하고 예후가 좋지 않기때문에 위험한 암입니다.

--> 식도암은 식도에 국한된 암일경우 5년 생존율이 47%, 주위로 전이한 경우 5년 생존율이 25% 정도에 해당합니다.

이때문에 평소에 위험 요인이 될수있는 부분들을 잘 관리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 역류성 식도염, 흡연, 음주, 카페인, 자극적인 음식, 기름진 음식, 먹고 바로 눕는 습관 등등

 

오늘은 바렛식도에 대해서 증상 및 위험성에 관하여 알아보았습니다.

도움이 되셨기를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반응형

댓글

Designed by JB FAC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