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학용어 TTP와 FFP 설명

반응형

오늘은 혈액과 관련된 두가지 의학용어인 TTP와 FFP에 대해서 설명드리겠습니다.

의학용어 TTP는 Thrombotic Thrombocytopenic Purpura, 혈전성 혈소판감소성 자반증이라는 뜻입니다.

의학용어 FFP는 Fresh Frozen Plasma, 신선 동결혈장이라는 뜻입니다.

TTP부터 하나하나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TTP

 

의학용어 TTP는 혈전성 혈소판감소성 자반증이라는 뜻인데요.

혈관에서 혈액의 응고로 작은 혈전들이 만들어지고, 이로인해서 혈소판이 많이 사용되고 혈소판의 숫자가 부족해지며 혈액의 응고능력이 감소합니다. 또한 피부의 보라색 반점인 자반이 생기기때문에 혈전성 혈소판감소성 자반증이라는 이름이 붙게 되었습니다.

TTP는 희귀한 질환이지만 체내 다양한 부위를 침범하여 여러 증상을 유발합니다.

1) 발열

2) 혈소판 감소증

3) 신장기능의 감소

4) 용혈성 빈혈

5) 의식저하 및 혼탁, 두통

6) 피부에 생기는 보라색, 빨간색 자반증 + 이유 없이 멍이 드는 증상

 

TTP의 원인으로는 자가면역에 의한 원인과 유전적인 원인을 생각해볼수 있습니다.

유전적인 원인으로는 ADAMTS 13 유전자의 돌연변이에 의한 선천적 원인을 말합니다.

TTP의 치료는 스테로이드와 같은 면역억제제를 이용하거나, 혈장교환술, 혈소판 수혈과 같은 치료방법들이 있습니다.

제대로 치료받지 않을경우 사망률이 굉장히 높지만, 특발성 TTP에서 혈장교환술을 비롯해 적절한 치료를 받을경우의 예후는 훨씬 양호합니다.

2. FFP

 

의학용어 FFP는 신선 동결 혈장이라는 뜻입니다.

신선동결혈장은 전혈에서 혈장을 분리하여 냉동시킨 혈액성분제재입니다.

신선동결혈장은 많은 혈액응고인자들을 포함하고 있기때문에 혈액응고인자의 결핍이 있는 질환에서 이를 보충할때 효과적으로 사용되는 혈액제재입니다.

신선동결혈장의 수혈 적응증은 다음과 같습니다.

 

1) 혈우병과 같은 단일 응고인자의 결핍

2) 급성 파종성 혈관내응고증 (Disseminated Intravascular Coagulopathy)

3) 혈전성 혈소판감소성 자반증 (TTP)

DIC와 TTP처럼 혈소판이 감소되고 혈전증 등이 동반될수 있을때는 신선동결혈장이나 동결침전제재 등을 이용해 보충요법을 시행하면 도움이 될수있습니다.

 

잠깐 혈액 성분제재에 대해서 알아보면.

출혈의 치료에 사용되는 농축적혈구, 신선동결혈장, 혈우병 및 vWF 병 등 응고인자의 부족의 치료에 이용되는 동결침전제재, 장기이식 등에서 사용되는 백혈구를 제거한 감마선조사 혈액제재 등이 존재합니다.

각각 혈액의 종류에 따라서 보관가능한 기간이나 보관온도도 상이하므로 이에대해서 알아두는것이 필요하겠습니다.

 

오늘은 두가지 의학용어 TTP와 FFP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

TTP는 혈전성 혈소판감소성 자반증, FFP는 신선 동결 혈장이라는 의미로 사용됩니다.

반응형

'의학용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의학용어 MICU, CCU, SICU, NICU, NCU  (0) 2020.10.15
의학용어 TOC와 DOC 뜻  (0) 2020.10.14
의학용어 TIPS, NUD, FD 설명  (0) 2020.10.12
의학용어 PET MRA MRI CT 차이 정리  (0) 2020.10.11
의학용어 PEA, VT와 VF  (0) 2020.10.10

댓글

Designed by JB FAC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