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학용어 EGC와 AGC

반응형

안녕하세요, 오늘은 위암(Stomach Cancer)과 관련된 두가지 의학용어에 대해서 간단하게 다뤄보려고 합니다.

위암은 우리나라에서 폐암과 간암에 이어서 대장암과 함께 사망률 3위와 4위를 다툴정도로 많이 사망하는 질환이며 남자에서는 발생률 1위에 해당할 정도로 흔하게 나타나는 암이기도 합니다.

EGC와 AGC는 모두 위암과 관련된 의학용어인데요.

 

EGC = Early Gastric Cancer = '조기 위암' 을 뜻하는 의학용어이고.

AGC = Advanced Gastric Cancer = '진행성 위암' 을 뜻하는 의학용어입니다.

그럼 각각의 용어들에 대해서 조금더 자세하게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조기 위암과 진행성 위암을 나누는 기준은 암세포가 위벽의 어느층까지 침범했는가입니다.

위벽은 크게 4가지 층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점막층(Mucosa), 점막하층(Submucosa), 근육층(Muscle Layer), 장막층(Serosa)이 위벽을 구성하는 4가지 층입니다.

암세포는 점막층에서 시작해서 점점 침범 범위를 넓혀나가 가장 많은 층을 침범할경우 장막층까지 침범하게 되는데요.

조기 위암의 경우 점막층이나 점막하층에 국한된 조기 암을 의미하고, 진행성 위암은 점막하층을 넘어서 근육층 이상으로 침범한 암을 의미합니다.

 

 당연하게도 조기 위암이 진행성 위암에 비해서 침범범위가 적기때문에 예후가 더 좋고 치료방법역시 내시경적 절제방법을 고려하는등 비교적 덜 침습적인 방법으로 치료가 가능할 수 있습니다.

한편 암에서 이처럼 암세포의 침윤정도를 따지는 것도 중요하지만, 암의 크기나 림프절로의 전이, 주위에 존재하는 다른 장기로의 전이 여부를 따지는 것도 중요합니다.

암의 크기가 크거나 주위 림프절 및 다른 장기로의 전이가 이루어진 상태라면 암이 더 진행된 상태라고 말할 수 있을 것입니다.

 

그러나 조기 위암(EGC)의 경우 림프절의 침범여부와 상관없이 암의 침윤깊이에 따라서만 분류를 하게됩니다.

TNM Staging에 따라서 분류할때 T1에 해당하는 경우 림프절 침범여부와는 관계없이 조기 위암으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반면 진행성 위암(AGC)은 T2 이상 침범한 경우를 말하고 근육층 이상을 뚫고들어가기 때문에 암이 위에만 국한되어 있는 경우가 드물고 주위 림프절이나 다른 장기로 퍼져나간 경우가 많습니다.

이런 이유로 진행성 위암이 조기 위암에 비해서 치료가 어렵고 예후가 좋지 않은 것이겠지요.

 

조기 위암(EGC)은 크기가 작고 점막층에 암이 국한되어 있는경우, 림프절 전이가 없는경우라면 내시경적 점막 절제술을 통해서 치료할수도 있습니다.

내시경적 점막 절제술은 수술이 필요없이 내시경을 통해서 간단하게 종양의 제거가 가능하기 때문에 환자에게도 부담이 덜하고 치료효과도 좋은편에 속합니다.

내시경적 점막 절제술(EMR)이나 내시경적 점막하 박리술(ESD)은 내시경적으로 위암을 제거하는 방법으로서 조기 위암의 제거 및 치료의 발전에 따라서 많이 발전된 치료방법입니다.

 

그러나 조기 위암이더라도 크기에 따라서, 침범 부위에 따라서, 암의 양상에 따라서 내시경적 절제 이외의 수술적인 절제방법이 필요하기도 합니다.

림프절 침범유무나 암의 크기와 분류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고 치료방법을 선택할 수 있습니다. 

반면 진행성 위암의 경우 대체로 수술적인 치료방법이나 항암화학요법, 방사선 요법등을 치료방법으로 고려하게 됩니다.

위암은 발생빈도와 사망률이 모두 높은 암에 속하며, 특히 남성에서는 가장 흔하게 발생하는 암이기 때문에 주의깊은 관리가 필요합니다.

위암에서는 소화불량이나 상복부 불편감, 구역감 등의 증상이 나타날 수 있는데요. 조기 위암에서는 이런 증상들이 나타나지 않는 경우도 많기때문에 위험인자들을 잘 관리하고 건강검진을 꾸준하게 받는것도 중요한 부분입니다.

 

오늘은 위암과 관련하여 두가지 중요한 의학용어에 대해서 다뤄보았는데요.

의학용어 EGC는 조기 위암으로서 점막층과 점막하층에 국한된 초기 암이라는 점, 의학용어 AGC는 진행성 위암으로서 점막하층을 넘어서 근육층을 뚫고 침범한 진행된 암이라는 점을 기억해두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감사합니다.

반응형

'의학용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의학용어 HA와 HB 뜻  (0) 2021.02.07
의학용어 CRRT와 HD, PD  (0) 2021.02.03
의학용어 AML ALL CML CLL 설명  (0) 2020.12.19
의학용어 RUQ RLQ LUQ LLQ RUL RML RLL 정리  (0) 2020.12.10
의학용어 m/c , 의학용어 m/i 뜻  (0) 2020.12.07

댓글

Designed by JB FAC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