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학용어 ABI 의학용어 ACS 설명글
- 의학용어
- 2020. 7. 19. 20:42
오늘은 두가지 의학용어, ABI와 ACS에 대해서 다뤄보도록 하겠습니다.
먼저 의학용어 ABI에 대해서 설명드리도록 할게요.
1. 의학용어 ABI
의학용어 ABI는 말초동맥질환(PAD = Peripheral Artery Disease)을 진단하는데 효과적인 진단방법으로서, 비침습적이고 간편하게 검사가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 말초동맥질환은 사지, 특히 다리로 가는 말초혈관이 좁아지면서 걷는데 통증이 느껴지고, 저린증상등이 나타나는 질환을 의미합니다. 담배나 당뇨, 고콜레스테롤혈증 등이 위험인자가 될수있습니다.
--> 비침습적이라는 뜻은 환자에게 끼치는 유해가 적다는 뜻입니다. 환자에게 시행하는 검사나 진단방법등은 비침습적인것을 먼저하고, 후에 침습적인 검사를 시행하도록 하는것이 좋습니다.
여하튼 ABI는 Ankle Brachial Index의 줄임말으로서, 발목 상완지수라는 뜻을 가진 의학용어입니다.
쉽게생각해서, 팔과 비교했을때 다리의 혈압이 얼마나 되는지를 비율로 계산한 값인데요. 실제로 측정하는 방법이 매우 간단합니다.
먼저, 양측 팔과 다리의 혈압을 모두 측정하도록 합니다.
이후, 왼쪽의 ABI, 발목상완지수를 구하고싶다면 왼쪽발의 수축기 혈압을 양측팔중 높은쪽의 수축기 혈압으로 나눕니다.
마찬가지로 오른쪽의 ABI를 구하고싶다면 오른쪽발의 수축기 혈압을 양측팔중 높은쪽의 수축기 혈압으로 나누면 됩니다.
간단하게 예시를 들어보도록 하겠습니다.
오른쪽 팔의 수축기 혈압이 80mmHg, 왼쪽 팔의 수축기 혈압이 120mmHg라고 가정해봅시다.
오른쪽 발의 수축기 혈압은 100mmHg, 왼쪽 발의 수축기 혈압은 150mmHg라고 가정해봅시다.
이때 오른쪽 발의 ABI는 오른쪽 발의 수축기 혈압인 100을 양쪽팔중 높은쪽의 수축기 혈압인 120으로 나눈값이 되는것입니다.
마찬가지로 왼쪽 발의 ABI는 왼쪽 발의 수축기 혈압인 150을 양쪽팔중 높은쪽의 수축기 혈압인 120으로 나눈값이 되겠습니다.
이때 계산한값의 결과에 따라서 말초동맥질환의 여부를 진단할수가 있게되는데요.
아까 말씀드렸다시피 말초동맥질환은 다리에서 흔하게 나타나고, 혈관이 좁아지면서 생기는 질환이라고 말씀드렸습니다.
이에따라서 양쪽 사지로 가는 혈류의 이상으로 말초동맥질환이 생긴쪽의 다리에 혈압이 낮게 측정되는 결과가 나타납니다.
결국 ABI값이 낮으면 낮을수록 낮은쪽 다리의 혈압이 낮다는 뜻이고, 그만큼 혈관이 좁아져있다고 생각할수가 있는것입니다.
ABI에 따른 결과해석은 다음과 같습니다.
1 < ABI < 1.4 인 경우, 정상치로 해석할수가 있습니다.
0.9 < ABI <1.0 인 경우, 경계값으로서 정상치이기는 하나, 어느정도 말초동맥질환을 의심할수 있습니다.
0.5 < ABI < 0.9 인 경우, 하지로 가는 혈관이 좁아진 말초동맥질환을 의심할수 있습니다.
ABI < 0.5 인 경우, 심하게 혈관이 좁아진 말초동맥질환을 의심할수 있습니다.
한편, ABI가 1.4보다 높은경우, 제대로 측정이 안된것일수도 있으므로(혈압계가 느슨하게 된것처럼) 재측정을 요합니다.
ABI는 말씀드린것처럼 이렇게 간편하고, 환자에게 해를 주지않으면서 측정이 가능하기때문에 좋은 검사방법입니다.
특히 말초동맥질환을 의심할수 있는 상황에서 시행하면 더욱 효과적일 것입니다.
2. 의학용어 ACS
두번째는 의학용어 ACS에 관한 설명입니다.
의학용어 ACS = Acute Coronary Syndrome, 급성 관상동맥 증후군을 의미합니다.
급성 관상동맥 증후군이란 불안정 협심증, NSTEMI(ST 분절의 상승이 없는 MI, Myocardial Infarction), STEMI(ST 분절의 상승이 있는 MI, Myocardial Infarction), 이 3가지를 의미합니다.
즉, 심장근육에 산소와 영양분을 공급하는 관상동맥이라는 혈관이 갑자기 막히게되면서 심장근육에 혈류공급이 일어나지않게되고, 그로인해 생기는 질환을 급성 관상동맥 증후군이라고 합니다.
급성 관상동맥 증후군은 관상동맥에 지방이 축적되고, 이렇게 콜레스테롤 등이 굳어서 벽에 축적되다가 파열이 일어나면서 관상동맥이 갑자기 막히게되면서 나타납니다.
대표적으로 STEMI의 경우 우리가 아는 심근경색으로서 심장근육에 괴사가 빠른시간내에 발생하기때문에 응급처치를 요하는 질환입니다.
NSTEMI는 심전도 상에서 ST 분절의 상승은 일어나지않지만 심장근육에 괴사가 진행되기때문에 역시 응급처치를 요하는 질환입니다.
--> STEMI = ST Elevation Myocardial Infarction
--> NSTEMI = Non ST Elevation Myocardial Infarction
불안정 협심증은 심근경색까지 진행된 상태는 아니지만, 안정시에도 가슴통증이 발생하는 단계만큼 진행된 상태이므로 역시 치료를 요하며 급성 관상동맥 증후군에 속하게됩니다.
반면에 안정형 협심증은 안정시에는 가슴통증이 발생하지않고, 급성 관상동맥 증후군에 분류하지는 않습니다.
즉, 안정 협심증 --> 불안정 협심증 --> NSTEMI --> STEMI
순서대로 오른쪽으로 갈수록 더 예후가 안좋은쪽, 더 진행된쪽이라고 생각하시면 쉬울것같습니다.
급성 관상동맥 증후군의 대표적인 증상은 가슴통증입니다.
가슴에서 어깨나 팔, 목이나 턱 등으로 방사되는 통증들이 나타나고, 구역감이나 구토를 하기도하며, 호흡곤란이나 현기증과 같은 증상들도 나타나곤합니다.
특히, 심근경색의 경우에는 빠른 처치가 이루어지지않으면 사망에 이를수있기때문에 응급처치가 반드시 필요합니다.
정리하도록 하겠습니다.
의학용어 ABI = Ankle Brachial Index = 발목 상완지수
의학용어 ACS = Acute Coronary Syndrome = 급성 관상동맥 증후군
'의학용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의학용어 AVR과 의학용어 ALC (0) | 2020.07.20 |
---|---|
의학용어 ADL이란? B-ADL과 I-ADL (0) | 2020.07.20 |
의학용어 SBP 혈압, 의학용어 DBP 표현정리 (0) | 2020.07.08 |
의학용어 MM 이란? (0) | 2020.07.03 |
의학용어 AVF와 AVG 설명글 (0) | 2020.07.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