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학용어 SBP 혈압, 의학용어 DBP 표현정리
- 의학용어
- 2020. 7. 8. 18:00
오늘은 혈압과 관련된 의학용어로서 의학용어 SBP와 의학용어 DBP에 대해서 다뤄보도록 하겠습니다.
혈압은 영어로 Blood Pressure라고 하며, 이를 줄여서 의학용어로는 BP라고 부릅니다.
Vital Sign(생체 활력징후) 4가지중의 하나로서 몸의 전반적인 상태를 나타내는 중요한 지표이기도합니다.
병원에가면 기본적으로 혈압측정을 시행하는경우가 많은것은 그만큼 중요한 지표이기 때문입니다.
--> Vital Sign(생체 활력징후)의 4가지 요소는 혈압, 심박수, 호흡수, 체온입니다.
혈압은 Blood Pressure, 의학용어 BP
심박수는 Pulse Rate, 의학용어 PR
호흡수는 Respiratory Rate, 의학용어 RR
체온은 Body Temperature, 의학용어 BT
혈압은 대부분 알다시피 120/80 과 같이 앞과 뒤의 두가지 수치로 표현을 하게됩니다.
이중에서 앞의 숫자, 더 높은숫자가 의학용어 SBP(Systolic Blood Pressure), 수축기 혈압입니다.
뒤의 숫자, 더 낮은숫자는 의학용어 DBP(Diastolic Blood Pressure), 이완기 혈압입니다.
이 두가지 혈압수치는 심장박동에 따라서 나뉘어지는데요.
심장근육이 수축하면서 피를 전신으로 쭉 짜낼때 동맥벽에 가해지는 압력을 수축기 혈압이라고 부르며 심장근육이 이완하면서 피를 받아들일때 가해지는 압력을 이완기 혈압이라고 부릅니다.
수축기 혈압과 이완기 혈압은 두가지모두 중요한 수치이며, 정상범위보다 증가해있는경우 고혈압에 해당하며 치료를 받을것을 권고합니다.
AHA(American Heart Association), 미국 심장협회에 따르면 고혈압의 진단기준은 다음과 같습니다.
수축기 혈압(SBP)이 120-129 사이이고 이완기 혈압(DBP)이 80 아래인 경우 고혈압 전단계에 해당합니다.
--> 둘중 하나라도 위의 수치를 벗어날경우 고혈압 전단계가 아닙니다. 고혈압 전단계는 고혈압은 아니지만 고혈압으로 진행할수있으므로 관리를 요하는 단계입니다.
수축기 혈압(SBP)이 130-139 사이거나 이완기 혈압(DBP)이 80-89 사이인 경우 고혈압 1단계에 해당합니다.
수축기 혈압(SBP)이 140 이상이거나 이완기 혈압(DBP)이 90 이상인 경우 고혈압 2단계에 해당합니다.
--> 중요한점은 수축기 혈압과 이완기 혈압 둘중 하나라도 높을경우 고혈압에 해당한다는 것입니다.
이렇게 수축기 혈압과 이완기 혈압의 수치에 따라서 고혈압의 단계를 나누게되며 치료를 달리할수도 있습니다.
기본적으로 고혈압의 치료는 약물적 치료와 생활습관적인 치료가 주를 이루게됩니다.
약물적 치료는 ABCD 치료를 기억하시면 되는데요.
A = ACE Inhibitor, ACE 억제제
B = Beta Blocker, 베타블로커
C = Calcium Channel Blocker, 칼슘채널억제제
D = Diuretics, 이뇨제
이들은 다양한 방식으로 신체의 혈압을 낮춰주어서 고혈압을 개선하는 효과가 있습니다.
하지만 약물적인 치료는 근본적인 치료는 아닙니다. 고혈압을 관리하고 치료하는데 가장 중요한것은 생활습관의 개선입니다.
생활습관의 개선이라함은 식습관, 운동, 금연이나 금주 등 생활전반에 걸친 행동들이 모두 포함됩니다.
즉 저염식(나트륨, 소금이 적은 식단)이나 짜고 자극적인 음식 피하기,
주 3회 이상, 운동당 30분 이상씩의 유산소 운동,
금연과 금주 등 생활습관의 개선이 고혈압의 예방과 관리에 있어서 반드시 필요하며, 체중감량이나 당뇨, 고지혈증 등 다른 질환의 치료를 통한 혈관건강의 개선이 필요합니다.
고혈압은 고령에서 더 흔하며, 남성에서 여성보다 더 흔하게 나타나는 질환이지만 서구화된 식습관이나 운동부족 등의 영향으로 인해서 젊은 세대에서도 고혈압의 위험에 노출되는 경우도 많아졌습니다.
2015년 자료 등에 따르면 거의 30% 전후에 해당하는 사람들이 고혈압에 노출되어 있기때문에 평소에 주의깊은 관리가 필요합니다.
고혈압은 여러 다른 질환의 위험인자에 해당하며, 특히 심혈관계 질환이나 뇌혈관계 질환등의 위험요소로 작용하므로 생활습관의 개선을 통한 건강유지가 중요한 부분이겠습니다.
오늘은 혈압과 관련된 표현으로서 의학용어 SBP와 DBP에 대해서 다뤄보았습니다.
정리하면, 의학용어 SBP = Systolic Blood Pressure, 수축기 혈압. 의학용어 DBP = Diastolic Blood Pressure, 이완기 혈압에 해당하는 표현입니다.
'의학용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의학용어 ADL이란? B-ADL과 I-ADL (0) | 2020.07.20 |
---|---|
의학용어 ABI 의학용어 ACS 설명글 (1) | 2020.07.19 |
의학용어 MM 이란? (0) | 2020.07.03 |
의학용어 AVF와 AVG 설명글 (0) | 2020.07.02 |
의학용어 CSF 의학용어 CA(암) 의학용어 RT 설명 (0) | 2020.06.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