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학용어 s/p, 의학용어 r/o, 의학용어 CKD, 의학용어 AVN 알아보자!
- 의학용어
- 2019. 10. 29. 20:41
안녕하세요 의학정보, 의학상식을 소개해드리는 블로거 '의학건강'입니다!
오늘은 간단하지만 많이 쓰이는 의학용어 4가지에 대해서 알려드리도록 하겠습니다.
1. 의학용어 s/p
S/P 라는 의학용어는 Status per operation, 또는 Status post operation 의 줄임말로서 사용되는 의학용어입니다.
Status는 ~한 상태를 뜻하고, per operation 또는 post operation은 수술을 한, 또는 수술 뒤의 라는 의미입니다.
즉 s/p 라는 의학용어는 ~한 수술을 한 상태, ~한 수술을 한 뒤의 상태를 뜻하겠죠? 예를 들어볼까요?
s/p Appendectomy d/t Acute appendicitis . 이런 식으로 많이 쓰이는데요. d/t 라는 의학용어는 due to, 즉 ~한 이유로라는 뜻입니다. 즉 위의 말을 번역하면 급성 충수염 때문에 충수절제술을 시행한 상태인 환자를 지칭하는 것이지요. 이해가 되셨나요? 환자의 상태를 묘사하는 말로서 '어떠한 질병 때문에 이러이러한 수술을 했다' 라고 표현해주는 것입니다.
2. 의학용어 r/o
r/o은 사실 굉장히 많이 쓰이는 의학용어입니다. 환자 기록지 모두에 쓰이구요. r/o이 없는 환자 정보지는 없습니다.
r/o은 rule out 이라는 뜻의 줄임말입니다. 그냥 영어 단어의 의미로 보면 배제하다는 뜻인데요. 사실 실제로는 감별진단의 상황에서 쓰이게 됩니다.
감별진단이라는 것은 감별해야 할 질환들을 얘기하는것입니다. 예를 들자면, 어떤 환자가 가슴통증이 있어서 병원에 방문을 하였습니다.
가슴통증 하나만가지고 어떤 질병인지 알수는 없겠죠?
내가 가진 정보가 가슴통증 하나라면 r/o 해야 하는 질환이 엄청나게 많은 것입니다. 즉, 감별하고 배제해야 할 질환이 많다는 것이죠. 가슴통증을 단서라면 이렇게 r/o을 줄 수가 있습니다.
r/o angina, r/o pneumothorax, r/o aortic dissection ..... 협심증, 기흉, 대동맥박리 등등 수많은 질병들이 가슴통증을 유발할 수 있는 질병이기 때문에 그 모두를 내가 감별해야 하는 것입니다. 실제의 환자의 경우에는 물론 이보다는 많은 단서들이 추가됩니다. 증상이 추가될수도 있고, 아니면 피 검사 결과, 또는 x-ray나 CT 같은 영상학적인 검사들이 추가 될수도 있을 것입니다.
이렇게 내가 의심이 되는 질병들 중에 하나하나를 감별해나가고 배제해나가서 결국에 어떤 병이구나! 를 추측해나가는 과정에서 쓰이는 것이 r/o 이라는 의학용어입니다. 만약에 어떠한 질병이 확정이 되었다면 r/o이라는 말을 빼고 그냥 질병 명만 기입하면 되는 것이지요.
3. 의학용어 CKD
CKD 라는 말은 Chronic kidney disease 라는 질병의 줄임말입니다. 보통 투석환자분들께서 CKD 를 가지고 계신 분이 많습니다. 한국말로 번역하면 만성콩팥병이라고 번역될 수 있겠네요.
만성콩팥병은 만성적으로 콩팥 기능에 이상이 생기는 것을 말하고, 다리부종, 구토, 식욕부진, 피로감 등등 다양한 증상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GFR이라고 하는 Glomeruler filtration rate, 한국말로 사구체 여과율을 통해서 스크리닝 검사를 하는데요.
이 사구체 여과율은 뭐나면, 사구체라는 것은 신장의 구조물 중 하나입니다.
신장의 대표적인 기능은 체내의 노폐물을 제거해주는 것인데, 이 사구체라는 놈에서 우리 몸의 불순물 같은 것들을 여과시켜서 소변으로 내보내는 기능을 합니다.
따라서 이 사구체의 여과가 얼마나 잘 되나, 즉 노폐물 제거가 얼마나 잘되나를 통해서 신장기능을 간접적으로 파악하는 것입니다.
그렇게 해서 GFR 이 떨어져있고, 3개월 이상 혈청 Cr(크레아틴)과 같은 독성물질의 수치들을 보면서 신장기능이 이상하다면 진단할 수 있게 되는 것입니다.
4. 의학용어 AVN
AVN이라는 의학용어는 Avascular necrosis, 무혈성 괴사라고도 부르는데요. 쉽게 생각하면 뼈 조직에 피 공급이 잘 되지 않아서 뼈가 죽어버리는 것입니다.
뼈 조직도 영양분을 공급받아야 사는데, 이곳 혈관에 이상이 생겨서 에너지 공급이 원활하지 않게 되고, 그에 따라 괴사에까지 이를 수 있게 되는 것입니다.
따라서 통증이나 불편감이 유발될 수 있고, 보통 어깨나 무릎, 그리고 고관절 쪽에 주로 발생하게 됩니다.
원인으로는 음주, 골절, 스테로이드 사용 등이 있을 수 있고, 대표적인 치료로는 Total hip replacement라고 하는 것이 있는데, 말그대로 고관절을 다른 것으로 바꿔 버리는 것입니다. 괴사가 일어나서 죽은 뼈 조직을 대신해 새로운 뼈 조직을 넣어 주는 것이지요.
'의학용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의학용어 CVAT, 의학용어 EOM, 의학용어 PTE 에 대해 알아보자! (0) | 2019.11.03 |
---|---|
의학용어 IPF 설명글 (0) | 2019.11.02 |
의학용어 d/t, 의학용어 h/o, 의학용어 w/u 에 대해 알아보자! (0) | 2019.11.01 |
의학용어 ESRD, 의학용어 ERCP, 의학용어 AKI 에 대해서 설명드릴께요. (0) | 2019.10.31 |
의학용어 CVA, 의학용어 f/u, 의학용어 TIA 에 대해 알아보자! (0) | 2019.10.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