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학용어 d/t, 의학용어 h/o, 의학용어 w/u 에 대해 알아보자!
- 의학용어
- 2019. 11. 1. 10:34
오늘은 예전에 포스팅했던 의학용어 r/o, s/p, f/u 만큼이나 굉장히 많이 사용되는 의학용어 3가지에 대해서 말씀드리려고 합니다.
1. 의학용어 d/t
의학용어 d/t 는 이전에 s/p = status post operation 을 설명하면서 같이 말씀드렸던 기억이 나는데, d/t = due to = ~ 때문에 라는 뜻입니다. 주로 s/p 와 같이 사용되는 경우가 많은데요, 이번에도 비슷한 예를 한번 들어보겠습니다.
S/p PCI stent d/t ant. Wall myocaridal infarction
이런식으로 사용이 많이 되는데요, 해석해보면 ant. Wall = 앞쪽 벽의 myocardial infarction = 심근경색 때문에 PCI stent 삽입수술을 한 상태라는 뜻입니다.
즉, 심장의 앞쪽 벽에 혈액 공급이 잘 안되는 심근경색이 있어서 PCI stent 라는 시술을 통해 작은 관을 넣어서 막힌 혈관을 뚫어 주었다는 말입니다.
항상 어떠한 수술이나 시술을 하는 것은 원인되는 질병이 있기 때문이겠죠? 이런 상황에서 d/t 라는 의학용어를 원인 질병 앞에 붙여서 적는 경우가 많습니다.
2. 의학용어 h/o
H/o = History of ~ 라는 뜻의 의학용어입니다. 보통 과거의 질병을 언급할 때 많이 사용됩니다. 이를 테면 고령의 환자의 경우에는 가지고 있는 질병도 여러 가지일테고, 과거에 겪었던 질병도 여러 가지일 것입니다. 즉, 과거력을 언급하는 부분이랍니다.
이번에 병원에 방문한 이유가 Stroke, 즉 뇌졸중 때문이라고 한다면 이런 식으로 적을 수 있을 것입니다.
Stroke, h/o pneumonia, h/o TIA, h/o A.fib
편의를 위해서 일렬로 썼는데 보통은 Stroke 아랫줄에 h/o pneumonia, 이런 식으로 적게 됩니다. 뇌졸중으로 병원에 입원했지만 예전에 폐렴을 앓았던 병력이 있고, TIA를 앓았던 병력이 있고, A.fib을 앓았던 병력이 있는 환자인 것입니다.
사실 Stroke과 pneumonia는 별로 관련이 없는 질병일 수도 있겠지만, 이렇게 이전에 겪었던 병들을 적어줌으로써 이번 진단에 도움이 될 수도 있고, 치료에 도움이 될수도 있을 것입니다.
A.fib = 심방 세동과 같은 질환은 뇌졸중의 위험인자가 되기 때문에 치료의 방향성을 잡는데도 도움이 되겠지요.
3. 의학용어 w/u
W/u 이라는 의학용어는 사실 굉장히 간단한 의학용어입니다. Work up 이라는 뜻인데요, 의학용어 이외에도 다른 분야에서도 사용될 수 있는 말입니다.
W/u이 쓰일 수 있는 예는 다음과 같습니다.
Ex) 수면무호흡증에 대한 추가적인 work up이 필요하다. 즉 추가적인 검사와 평가가 필요하다는 뜻입니다.
원인을 규명하고, 환자의 상태를 주기적으로 체크하는 follow up의 의미도 담고 있으며, 어떠한 치료를 시행할지에 대한 전반적인 계획과 그 계획의 시행을 work up이라는 의미가 내포하는 것입니다.
오늘은 여기까지 준비했구요, 요즘에 의학용어에 대해서 포스팅을 하고 있는데 저도 처음에는 낯선 의학용어가 많았고, 솔직히 지금도 어떤 의학용어에 대해서는 잘 모르는 것도 있습니다.
R/O 이나 F/U 처럼 모든 병원에서 통용되는 의학용어도 있겠지만, 특정 병원에서만 사용되는 의학용어도 있기 때문에 모든 의학용어를 알기란 쉽지 않지만 앞으로도 꼭 알아두면 좋은 의학용어에 대한 포스팅은 계속하도록 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의학용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의학용어 CVAT, 의학용어 EOM, 의학용어 PTE 에 대해 알아보자! (0) | 2019.11.03 |
---|---|
의학용어 IPF 설명글 (0) | 2019.11.02 |
의학용어 ESRD, 의학용어 ERCP, 의학용어 AKI 에 대해서 설명드릴께요. (0) | 2019.10.31 |
의학용어 CVA, 의학용어 f/u, 의학용어 TIA 에 대해 알아보자! (0) | 2019.10.31 |
의학용어 s/p, 의학용어 r/o, 의학용어 CKD, 의학용어 AVN 알아보자! (0) | 2019.10.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