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학용어 DES, 의학용어 CTA
- 의학용어
- 2020. 7. 29. 19:16
의학용어 DES와 의학용어 CTA에 대해서 간단하게 설명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의학용어 DES는 Diffuse Esophageal Spasm, '미만성 식도경련' 이라는 뜻을가진 질환으로서 식도근육이 불규칙적으로 수축하면서 나타나는 질환입니다.
의학용어 CTA는 CT-Angiography, Computed Tomography Angiogram, '전산화 단층촬영 혈관조영술' 이라는 뜻으로서 혈관을 관찰하는데 용이한 진단기법중 하나입니다.
각각에 대해서 조금더 자세하게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1. 의학용어 DES
미만성 식도경련은 아직까지 원인이 제대로 밝혀지지않은 질환입니다.
크게는 신경의 문제로서 뇌의 신호가 식도근육에 전달되는 과정에서 문제가 발생하여 불규칙적으로 식도근육이 수축하는것으로 알려져있습니다.
또한 너무 차갑거나, 너무 뜨거운것처럼 특정 음식에 대해서 반응하여 나타나는 질환으로 생각하기도합니다.
식도는 입을 제외하고 음식물이 지나가는 첫번째 통로이기도한데요.
이곳의 근육에 문제가 생기기때문에 음식물을 삼키는것에 어려움을 겪거나, 음식물이 역류하는것처럼 음식물 소화과정에 방해를받고, 가슴통증과 같은 증상들이 나타나기도합니다.
위식도 역류질환(GERD)와도 증상이 조금 비슷하게 생각될수 있습니다.
--> 위식도 역류질환은 위산이 식도로 역류하면서 가슴통증이나 기침등의 증상을 유발하는 질환입니다
미만성 식도경련은 원인이 불분명하기때문에 치료역시 다양한 방법을 시도해볼수가 있겠는데요.
가장쉽게는 원인물질이 되는 음식을 피하는것입니다.
본인의 식단에 대한 일지를 작성하여서 증상을 유발하는 음식이 있다면 그 음식을 먹지않도록 피하는것이 방법일수 있겠습니다.
위산분비억제제나 보툴리늄톡신, 니트로글리세린과 같은 약제들도 사용될수가 있구요.
--> 보툴리늄톡신은 아세틸콜린 분비억제제로서 하부식도괄약근에 주입하여 치료로서 사용되기도합니다
또, 뇌와 관련하여서 항우울제나 항경련제와 같은 약물들도 치료로 사용될수 있겠습니다.
2. 의학용어 CTA
CTA, 전산화 단층촬영 혈관조영술은 말그대로 조영제를 정맥을 통해 투여한뒤에 혈관을 자세하게 들여다보는 검사방법입니다.
조영제를 투여하면 혈관을 더 자세하게 볼수있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대표적으로 심장, 다리, 목, 뇌 등에서 혈관에 대한 자세한 정보를 얻어낼수가 있는데요.
혈관이 좁아져있는부분, 막혀있는부분, 튀어나온부분(동맥류 등) 등에 대한 평가가 가능하며 비교적 비침습적으로 시행할수있는 검사방법이라는 장점이 있습니다.
전산화 단층촬영 혈관조영술 이전의 전통적인 혈관조영술은 카테터 등을 이용하여 더 침습적으로 진행되기때문에 CTA가 더 간편하게 시행할수가 있겠지요.
하지만 혈관조영술 이후 바로 수술이나 시술 등을 통해 막힌 혈관을 뚫어내야할때 CTA는 이차적으로 다시 혈관조영술을 시행해야한다는 단점이 있습니다.
반면 카테터를 이용한 전통적 혈관조영술은 이미 통로를 확보했기때문에 바로 시술이나 수술을 시행할수가 있겠지요.
'의학용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의학용어 PUD, 의학용어 SVC와 IVC 어떤 뜻일까? (0) | 2020.08.01 |
---|---|
의학용어 OP, 의학용어 OBS 설명글 (0) | 2020.07.30 |
의학용어 ILD 쉽고 자세한 설명 (0) | 2020.07.26 |
의학용어 BPPV, 의학용어 CDI 설명글 (0) | 2020.07.21 |
의학용어 BLL, 의학용어 BMD 란? (0) | 2020.07.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