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학용어 BAL (기관지 폐포 세척술), 의학용어 EBUS

반응형

의학용어 BAL은 Bronchoalveolar Lavage의 줄임말로서 기관지 폐포 세척술이라는 뜻의 의학용어입니다.

Bronchoalveolar Lavage, 또는 Bronchoalveolar Washing 으로 부를수도 있으며 간질성 폐질환이나 폐렴, 급성 호흡곤란 증후군 등 여러 하부 호흡기 질환의 진단에서 유용하게 사용되는 검사방법입니다.

기관지를 의미하는 Bronchus와 폐포를 의미하는 Alveolus, 세척을 의미하는 Lavage가 합쳐져 기관지 폐포 세척술이라는 의미를 가집니다.

 

기관지 폐포 세척술은 기관지 내시경을 이용해서 코나 입을 통해 기도로 접근한 뒤에, Saline을 이용해서 세척을 한후 다시 흡입하여 세포와 박테리아를 같이 흡입합니다.

이를 통해 기관지와 폐포에서의 검체 채취가 가능하고 성분을 분석하여 폐의 원인질환을 추정할수 있습니다.

만성 폐쇄성 폐질환(COPD)에서 급성 염증의 완화를 위해서 시행하기도 하구요.

코를 통해 면봉을 집어넣어서 시행하는 Nasal Swab보다 더 깊고 자세하게 검체채취가 가능하기때문에 더 민감하고 정확한 검사방법입니다.

 

기관지 폐포 세척술을 통해서 검체채취를 한 결과값은 다음과 같습니다.

정상적인 사람에서는 대식세포(Macrophage)가 85% 정도를 차지하고, 호중구(Neutrophil)가 10% 미만, 호산구(Eosinophil)가 1% 미만을 차지합니다.

림프구(Lymphocyte)의 분율이 30% 이상일경우 과민성 폐장염이나 사르코이드증을 의심할수 있고.

호중구(Neutrophil)의 분율이 60% 이상일경우 급성 호흡곤란 증후군(ARDS)이나 폐렴 등 감염질환을 의심하며.

호산구(Eosinophil)의 분율이 30% 이상일경우 호산구성 폐렴을 의심할수 있습니다.

 

또한 사르코이드증이나 과민성 폐장염처럼 림프구 수치가 민감하게 연관된 질환에서는 CD4/CD8 비율도 유용하게 사용될수 있습니다.

CD4/CD8 비율이 2 이상이라면 사르코이드증을, 1 이하라면 과민성 폐장염을 의심할수 있습니다.

그러나 이 수치들은 절대적인 수치가 아니기때문에 항상 임상병력과 영상소견등과 복합적으로 판단하는것이 필요합니다.

흉부 X-ray나 고해상도 흉부 CT, 기관지 내시경과 같은 영상소견들을 복합적으로 해석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의학용어 EBUS는 Endobrachial Ultrasound의 줄임말로서 기관지삽관 초음파촬영이라는 뜻입니다.

EBUS 역시 기관지 폐포 세척술과 마찬가지로 기관지 내시경을 통해서 시행하는 검사방법입니다.

EBUS는 보통 폐암이나 여러 감염질환, 흉부 림프절의 확대에서 원인을 찾기위해서 많이 시행하고, 특히 폐암에서 조직검사를 시행할때 효과적으로 사용됩니다.

 

통상적으로 폐암이 의심될때는 조직검사가 필수적인데, 기존의 조직검사에 비해 기관지 내시경을 통한 EBUS는 덜 침습적이고 효과적으로 조직검사를 시행할수 있습니다.

또한 기도와 폐, 기관지 및 림프절에 대해서 즉각적인 영상정보를 제공하고 접근하기가 쉬우며, 검사역시 간단하고 빨리 끝나기때문에 각광받는 검사방법이기도 합니다.

 

Endoscopic Ultrasound, 의학용어 EUS와는 차이점이 있는데.

EUS는 내시경을 이용한 위장관 초음파 촬영술이라는 뜻인 반면에, EBUS는 기관지 및 폐에 대한 초음파 촬영술이라는 차이점이 있습니다.

EUS는 상부 위장관에 대한 내시경을 이용합니다.

 

이처럼 BAL과 EBUS는 모두 기관지 내시경을 이용해서 하부 호흡기 병변의 정확한 원인을 진단하는데 필요한 검사방법들입니다.

기관지 내시경은 호흡기 질환의 진단 및 해석에 있어서 필수적이므로 관련 용어들을 익혀두시면 도움이 될것이라고 생각합니다.

 

정리하자면 BAL은 Bronchoalveolar Lavage로 기관지 폐포 세척술.

EBUS는 Endobrachial Ultrasound로 기관지삽관 초음파 촬영술이라는 뜻을 가진 의학용어입니다.

도움이 되셨기를 바랍니다.

반응형

댓글

Designed by JB FAC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