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학용어 의학건강 2020. 3. 25. 21:50
1. 의학용어 AGE 의학용어 AGE = Acute Gastroenteritis '급성 장염' 을 의미합니다. 급성 장염은 세균이나 바이러스에 의해서 감염되면서 일어나는데요, 오염된 물이나 음식을 통해서 흔하게 감염이 일어납니다. 보통 증상으로는 구역감, 구토, 복부 통증, 설사, 두통과 발열 등의 증상이 나타날수 있습니다. 장염에 걸리게되면 보통 수액보충, 즉 이온음료나 물을 많이 섭취함으로서 수분과 전해질의 보충을 이루어주는게 중요합니다. 장염은 물설사를 많이 유발하기 때문에 몸에 있는 수분의 양이 줄어들수 있기 때문입니다. 장염에 걸리게되면 보통은 대증적인 치료로서 푹쉬고 자극적인 음식을 피하며, 수분섭취를 늘리면 치료될수있고. 항생제처방등의 치료가 사용될수 있습니다. 2. 의학용어 UGI 의학용어..
의학용어 의학건강 2020. 3. 21. 09:46
▶ 의학용어 CC 의학용어 CC는 Chief Complaint 의 줄임말로서 우리말로는 '주 호소증상' 으로 해석할수 있습니다. '주 호소증상' 이라는것은 '현재 가장 불편한 증상' 이라고 보면 되는데요. 예를들어서 감기에 걸린 환자가 있다고 생각해보면. 여러가지 증상이 나타날 것입니다. 기침이나 콧물, 코막힘, 인후통, 두통, 근육통 등등 여러가지 다양한 증상들이 존재하는데요. 이중에서 환자가 호소하는, 즉 가장 불편한 증상이 어떤 것인지가 CC에 해당합니다. '병원에 오게된 이유' 가 CC인 것이지요. 보통 병원에 방문하는 이유를 말할때 ~ 때문에 왔어요 라고 말할수 있는 것을 CC라고 보면 됩니다. 대표적으로 '기침' , '복통' , '두통', '흉통' 등등이 주소에 해당할수 있습니다. ▶ 의학용어..
의학용어 의학건강 2020. 3. 6. 14:38
의학용어 PCN = Percutaneous Nephrostomy 우리말로 '경피적 신루 설치술' 이라고 번역됩니다. 쉽게 예를 들어서 설명해보겠습니다. 소변은 신장에서 요관을 통해 방광으로 가서 저장되어 있다가 우리가 소변이 마렵다고 느끼면 요도를 통해서 밖으로 배출이 됩니다. 이게 정상적인 노폐물배설의 과정입니다. 하지만 특정한 이유로, 이를테면 요석(요로에 생긴 돌)으로 인해서 오줌길이 막혀있다면 어떨까요? 원활한 노폐물의 배설과정이 일어나지 않을것입니다. 이러한 경우에 필요한것이 PCN, 경피적 신루 설치술입니다. 정상적인 소변 배출과정이 진행되지 않을때, 이 경로를 우회해서 신루를 만들어주고 소변이나 또는 돌의 배출을 유도하는 것입니다. 요로에 생긴 돌처럼 소변길을 막는경우, 전립샘에 생긴 종양,..
의학용어 의학건강 2020. 3. 4. 19:15
의학용어 CTS는 여러가지 용어로 사용될수 있는 의학용어입니다. 가장 흔하게 사용되고 대표적으로 사용되는 것은 Carpal Tunnel Syndrome으로, '수근관 증후군' 또는 '손목터널 증후군' 으로 불리는 의학용어입니다. 이외에도 보통 CT라고 부르는 Computed Tomography Scan의 약자로서 간혹 사용되기도 하며, 흔하게 알려진 약제중 하나인 CorticoSteroid를 CTS라고 부르기도 합니다. 하지만 이경우들보다는 Carpal Tunnel Syndrome이 가장 대표적이죠. 의학용어 CTS = Carpal Tunnel Syndrome = '손목 터널 증후군' = '수근관 증후군' 으로 알고계시면 편하실 것 같습니다. 손목 터널 증후군은 간단히 말하자면 손목안에 있는 신경이 눌려..
의학용어 의학건강 2020. 3. 4. 16:01
오늘은 CS 의학용어에 대해서 자주 쓰이는 용어들을 정리해보겠습니다. CS는 보통 Cardiothoracic Surgery, 즉 흉부외과를 부르는 이름으로 사용되는 의학용어입니다. Cardiovascular + Thoracic = 심혈관계 + 흉부 = 심장과 폐 등 중요장기를 비롯한 흉부(가슴쪽) 흉부외과는 일의 강도가 높고 생명에 위중한 수술을 많이 다루기 때문에 실제로는 사람들이 잘 하고싶어하지 않는 과이지만 드라마에서는 빈번히 등장하는 과입니다. 최근 방영된 낭만닥터 김사부에서도 흉부외과와 응급의학과에 대한 얘기가 주를 이뤘던것으로 아는데, 맞나요? 각설하고, 흉부외과는 실제로 필요한 만큼 공급되지도 않고(힘들어서 기피하기 때문에), 흉부외과는 일의 강도와 받는 스트레스에 비해 대우가 너무 안좋다고..
의학용어 의학건강 2020. 3. 3. 15:17
1. 의학용어 BPH 의학용어 BPH = Benign Prostatic Hyperplasia, 다들 한번쯤은 들어보셨을 '전립선 비대증' 입니다. 전립선은 남성건강의 생명이라고들 많이 말하는데, 이 전립선이 비대해지면서 전립선 주위 기관인 요도와 방광을 압박하여 소변보는데 불편감을 주는 질환이 전립선 비대증입니다. 구체적으로 어떠한 증상이 있을까요? 소변보는데 있어서 소변이 자주 보고싶고, 소변을 봐도 개운하지 않고, 소변을 볼때 힘을주어야 소변이 나오는 등의 증상이 대표적입니다. 비대해진 전립선에 의해서 요도와 방광이 압박되면서, 위와 같은 증상들이 나타나는 겁니다. 전립선 비대증에 대해서 자가검진을 시행해볼수도 있는데요, - 소변을 얼마나 자주 보고싶은지? - 밤에 잠이 들었다가 소변을 보고싶은 욕구..
의학용어 의학건강 2020. 3. 1. 16:11
오늘도 간단하게 의학용어 2가지에 대해서 다뤄보겠습니다. 의학용어 ABR과 의학용어 TPN입니다. 1. 의학용어 ABR 의학용어 ABR = Absolute Bed Rest 우리말로 하면 절대 침상 안정? 정도로 번역됩니다. 그냥 간단하게 말해서 움직이지말고 침대에만 누워있으라는 뜻이고, 절대 안정이 필요할때 쓰입니다. 이를테면 조산을 한경우나 허리통증이 심한경우 등에서 절대 안정을 필요로 합니다. 절대 안정은 오래 취할경우 오히려 좋지 않기 때문에 적절한 판단이 필요합니다. 오래 침상에만 누워있을경우 근육의 위축과 약화가 올수있고, 잘 움직이지 않을경우 혈전이 생길수도 있습니다. 따라서 움직임이 가능한 상황이라면 조금씩이라도 움직이는 것이 좋겠지요. 2. 의학용어 TPN 의학용어 TPN = Total P..
의학용어 의학건강 2020. 2. 29. 20:28
오늘도 간단하게 의학용어 2가지에 대해서 알려드리겠습니다. 먼저 의학용어 ROM에 대해서 보겠습니다. 1. 의학용어 ROM 의학용어 ROM = Range of Motion, 즉 움직임의 범위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또는 관절의 가동범위라고 생각하셔도 됩니다. 여기서 말하는 움직임의 범위는 주로 관절이 있는 쪽을 움직일 경우를 말합니다. 팔꿈치나 어깨관절, 손목관절, 무릎관절, 엉덩이관절, 발목관절 등이 해당하겠지요. 예를들어서 어깨관절을 예시로 들어볼게요. 어깨를 자주 사용하거나 무리를 많이하시는분, 반복적인 물리적 업무를 하시는분들은 어깨를 회전하실때 통증을 느끼는 분들이 꽤 되실텐데요. 어깨를 360도로 회전한다고 생각해보면 어느순간 걸리거나 통증이 느껴지는 부위가 있을수도 있습니다. 관절에 문제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