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학용어 의학건강 2019. 12. 23. 01:15
1. 의학용어 CBD 의학용어 CBD = Common bile duct, 우리나라 말로하면 총담관입니다. 담즙이 지나가는 통로를 담관이라고 부르는데요. 담즙은 다른말로 쓸개즙이라고 부르고, 우리몸에서 지방의 분해와 소화에 도움을 주는 물질입니다. 이 담즙은 간에서 생성이 되어서 쓸개에 저장이 되어 있다가, 담관을 통해서 십이지장으로 분비가 됩니다. 우리 몸의 소화기관은 크게 입에서부터 식도를 지나 위, 십이지장, 소장과 대장을 지나 항문으로 이어지게 됩니다. 간과 쓸개, 췌장과 같은 기관들은 직접적으로 음식물이 지나가는 기관은 아닌 것이지요. 이들은 모두 소화에 영향을 미치고 소화에 도움을 주는 기관들이지만 직접적인 통로는 아닌 것입니다. 간에서는 Hepatic duct = 간관, 쓸개에서는 Cystic..
의학용어 의학건강 2019. 12. 21. 23:30
1. 의학용어 TAH&BSO 의학용어 TAH = Total abdominal hysterectomy 전체 '복부의' 자궁절제술 이란 뜻입니다. '복부의' 는 abdominal 을 직역한 것이고, 실제로는 복부를 통한 복강경 수술을 의미합니다. 복강경 수술이란 배 전체를 모두 절제해서 배를 열고 수술을 진행하는 것이 아니라, 배에 작은 구멍을 뚫고 그 구멍속에 관을 넣어서 최소한의 흉터가 남고, 최소한의 부작용이 생기도록 유도하면서 수술하는 수술자의 고도의 기술이 요구되는 수술입니다. BSO = Bilateral Salpingo - Oophrectomy Bilateral = 양쪽의 Salpingo = 난관 Ophrectomy = 난소 절제술 입니다. 즉 양측의 난관 - 난소 절제술을 의미합니다. 결국 의학..
의학용어 의학건강 2019. 12. 21. 23:11
1. 의학용어 EGD 의학용어 EGD = Esophagogastroduodenoscopy 입니다. E = Esophagus = 식도 = Esophago 로 줄여 표현했고, G = Gastro = 위 입니다. 위는 Stomach 이라고도 부르고 형용사처럼 쓸때는 Gastric 등의 용어를 사용하기도 합니다. D = Duodenum = 십이지장 = Duodeno 로 줄여 표현했습니다. Scopy = 망원경, 즉 식도와 위와 십이지장을 망원경 같은 걸로 본다는 표현이고, 결국 EGD 라는 의학용어는 위식도내시경을 의미합니다. 내시경 해보신분도 있을거고 안해보신분도 있을겁니다. 저도 해보진 않았습니다만, 내시경은 수면내시경이 있고 비수면내시경도 있는데요. 수면내시경의 경우 자고 일어나면 내시경이 끝나 있다고 하..
의학용어 의학건강 2019. 12. 17. 13:03
1. 의학용어 ICH 의학용어 ICH 는 Intracerebral hemorrhage의 줄임말입니다. Cerebral = 대뇌의, hemorrhage = 출혈, Intra = ~ 내부의 라는 뜻을 담고 있고, 대뇌안에서 생긴 출혈이라고 번역될 수 있겠습니다. 그러나 통상 대뇌라는 말보다는 '뇌내출혈, 뇌 안에 생긴 출혈이다' 라고 쉽게 생각해주시면 될 것 같습니다. 뇌 안에 출혈이 생겼다고 말하면 꽤나 광범위해서 정확히 어느쪽에 생겼는지 구분하기가 쉽지 않습니다. 따라서, 뇌 안에서 어느 부위에 출혈이 생겼나를 나누기 위해서 SAH, SDH, EDH 등의 다른 의학용어들을 동원하여 위치를 나누게 됩니다. 이전에 포스팅한 글에도 있지만 SDH와 EDH는 주로 교통사고와 같은 외상에 의해서 피떡이 생기는 것..
의학용어 의학건강 2019. 12. 17. 01:25
1. 의학용어 SAH SAH 는 Subarachnoid hemorrhage의 줄임말입니다. 한글로는 지주막하 출혈이라고 부르게 됩니다. Arachnoid가 지주막이고 Sub가 ~ 아래라는 의미를 가지므로, 지주막 아래 출혈 = 지주막하 출혈 이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그래서 지주막이 어딜까요? 우리의 머리를 살펴보면, 머리의 가장 바깥쪽인 피부와 두개골을 제외하면, 뇌를 둘러싸고 있는 세 개의 막이 있습니다. 경막, 지주막, 연막입니다. 경막이 가장 겉에 있고, 연막이 가장 안에 있지요. 그래서 지주막하 출혈이라고 함은 지주막과 연막 사이 공간에 출혈이 생긴 것을 의미합니다. 이쪽 지주막에 출혈이 생기는 이유는 다양하지만 가장 흔한 원인으로는 뇌 동맥류의 파열입니다. 동맥류라고 하는 것은 동맥의 벽이 약..
의학용어 의학건강 2019. 11. 22. 17:54
PPI는 Proton pump inhibitor입니다. 위산의 분비를 억제시켜주는 약이고, 병원에서 다양한 쓰임새를 가지고 있으며, 가장 많이 사용되는 약제중에 하나입니다. 대표적인 PPI로는 Omeprazole이 있겠습니다. 이 위산 분비를 억제시켜주는 약이 쓰이는 곳은 여러가지가 있습니다. 1. 소화불량 2. 위궤양 환자 3. Helicobacter pylori 균의 제균치료 4. GERD = 위식도 역류 환자 5. 위염에서 위궤양의 예방 차원에서의 사용 6. 바렛 식도 = 식도하부 점막에서 비정상적인 세포들의 증식이 보이는 질환 여러가지 위나 식도의 이상에서 쓰이는 것을 볼수 있습니다. 이 PPI를 언제까지 사용해야하나? 고 하면, 바렛 식도를 앓고 있는 환자군이나 위궤양 환자에서 출혈이 발생하는 ..
의학용어 의학건강 2019. 11. 18. 01:01
1. 의학용어 IPD와 OPD IPD = Inpatient department OPD = Outpatient department 약자를 보면 어떤 것을 말하는지 아시겠나요? IPD는 Inpatient를 보는 부서이고, OPD는 Outpatient를 보는 부서를 말합니다. 병원에는 다양한 환자군이 존재합니다. 입원을 통해 다양한 검사와 치료가 필요한 환자군, 외래를 통해 정기적으로 검진을 받으러 오거나, 아니면 새로운 불편함이 생겨서 외래로 찾아올 수도 있을 것입니다. 아니면 응급한 환자들의 경우에는 응급실로 병원을 찾아올 수도 있을 것입니다. 여기서 Inpatient는 입원한 환자를 의미하고, Outpatient는 외래 환자를 의미합니다. 솔직히 말씀드리면 입원 환자를 IPD라고 흔하게 부르지는 않습니다..
의학용어 의학건강 2019. 11. 17. 18:19
1. 의학용어 HCC HCC는 Hepatocellular carcinoma의 줄임말로서 간세포암을 의미합니다. 간세포암은 간에서 생길 수 있는 암 중에서 다른 곳으로부터 전이된 암 이외에는 가장 흔한 암입니다. 암에는 Primary tumor가 있고, Secondary tumor가 있는데요, Primary tumor의 경우에는 원발성으로 생긴 암으로서 간의 문제로 생긴 암을 의미하고, Secondary tumor는 다른 곳에서부터 전이된 암으로서 폐암이 간으로 전이된 경우를 예로 들 수 있겠습니다. 간세포암은 주로 만성 간질환을 가지고 있는 환자에게서 생기는데요, 이를테면 B형 간염이나 C형 간염과 같은 만성 간염에 의해서 간경화가 생긴 경우 등에서 호발하는 것이지요. 다들 알다시피 술은 간에 치명적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