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학용어 의학건강 2021. 3. 8. 15:49
뇌하수체는 우리 몸의 다양한 호르몬 분비를 총괄하는 기관입니다. 뇌하수체는 전엽과 후엽으로 나뉘게 되고 각기 다른 호르몬 분비 역할을 수행하는데요. 오늘은 그중에서도 뇌하수체 전엽에서 분비되는 다양한 호르몬들에 대해서 설명드리도록 하겠습니다. 먼저 각각의 호르몬이 어떤 약어인지 말씀드리고 조금 더 자세하게 설명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의학용어 FSH = Follicle Stimulating Hormone = 난포 자극 호르몬 의학용어 LH = Luteinizing Hormone = 황체 형성 호르몬 의학용어 TSH = Thyroid Stimulating Hormone = 갑상선 자극 호르몬 의학용어 GH = Growth Hormone = 성장 호르몬 의학용어 ACTH = Adrenocorticotropic ..
의학용어 의학건강 2021. 3. 1. 15:09
오늘은 두가지 의학용어에 대해서 간단하게 설명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의학용어 SFA = Superficial Femoral Artery = 표재성 대퇴동맥 의학용어 RFCA = Radiofrequency Catheter Ablation = 전극도자 절제술 각각 위와 같은 의미로 해석이 되는데요. 하나하나씩 조금 더 자세하게 어떤 의미를 가지며 어떤 상황에서 사용되는 용어들인지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1. 의학용어 SFA 의학용어 SFA는 표재성 대퇴동맥(넓다리동맥)이라는 뜻을 가집니다. 대퇴동맥(Femoral Artery)은 바깥엉덩동맥(External iliac Artery)에서 하지쪽으로 이어져 허벅지쪽에 위치하는 동맥이며 무릎 부위에서 오금동맥(Popliteal Artery)으로 이어지는 동맥입니다...
의학정보상식 의학건강 2021. 2. 25. 14:34
안녕하세요, 오늘은 기립성 단백뇨에 대해서 다뤄보려고 합니다. 기립성 저혈압에 대해서는 들어보신 분들이 꽤나 많으실테지만 기립성 단백뇨라고 하는 질환은 생소하신 분들도 있으실 텐데요. --> 참고로 기립성 저혈압은 앉아있거나 누워있다가 갑자기 일어설때 혈압이 떨어지면서 어지럼증이나 현기증을 느끼게 되는 상황을 말합니다. 기립성 단백뇨는 기립성 저혈압과 마찬가지로 앉아있거나 누워있을때보다 일어설 때 단백뇨 증상이 나타나는 것을 말합니다. 그렇기 때문에 소변 속의 단백질량을 측정했을때 특이한 상황이 생기게 되는데요. 주로 누워있거나 움직이는 시간이 적은 저녁부터 밤, 새벽까지의 시간대에는 소변 내 단백질의 양이 정상수치에 가깝지만 아침이나 낮 등 활동시간에는 소변 내 단백질의 양이 정상수치보다 높은 모습을 ..
의학정보상식 의학건강 2021. 2. 19. 13:26
안녕하세요, 오늘은 길버트 증후군에 대해서 자세하게 말씀드리려고 합니다. 길버트 증후군(Gilbert Syndrome)은 일종의 유전질환으로서 빌리루빈의 대사과정에 문제를 겪게 되는 질환입니다. 대표적으로 황달증상을 유발하는데요. --> 황달이란 빌리루빈이 쌓이면서 눈이나 피부가 노랗게 변하는 증상을 말합니다. 그렇지만 특별한 치료가 없어도 자연스럽게 호전이 되는 경우가 많고 대부분 경한 증상들을 일으키기 때문에 예후가 좋은 질환에 속합니다. 그럼 길버트 증후군에 대해서 조금 더 자세하게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길버트 증후군이 생기는 원인은 무엇이며, 증상은 어떤 것들이 있는지를 포함해서 길버트 증후군에 대해서 전반적으로 살펴보도록 할게요! 1. 길버트 증후군의 원인 길버트 증후군은 유전질환이라고 말씀드..
의학정보상식 의학건강 2021. 2. 15. 11:19
저나트륨혈증이란 피 속의 나트륨이 적다는 것을 말합니다. 보통 저나트륨혈증을 말할때는 혈중(피 속) 나트륨의 농도가 1L당 135mmol 이하인 경우를 말합니다. 1L당 120mmol 이하라면 심각한 저나트륨혈증이라고 말하구요. 이렇게 저나트륨혈증을 말할 때는 나트륨의 절대적인 양이 아니라 농도가 적은 것을 일컫기 때문에 실제로 나트륨의 양이 적어서 저나트륨혈증이 생길 수도 있지만, 나트륨은 그대로인데 물의 양이 많아져서 상대적으로 저나트륨혈증이 생길 수도 있을 것입니다. 나트륨은 몸의 삼투압을 결정하는 중요한 전해질인데요. 삼투압과 삼투 현상에 대해서 간단하게 설명드리자면, 농도가 다른 두가지 용액이 존재할 때 농도가 낮은 쪽에서 농도가 높은 쪽으로 물이 이동하는 현상을 말합니다. 농도가 낮은 쪽은 물..
의학정보상식 의학건강 2021. 2. 11. 10:39
이뇨제란 이뇨작용을 돕는 약물로서 신장을 통한 소변의 배설량을 늘리는 약입니다. 이뇨제는 보통 고혈압이나 심부전, 간경화로 인한 복수가 찬 경우 등에서 치료의 목적으로 사용이 됩니다. 이뇨제의 종류는 다양하며 각각 비슷하면서도 조금씩 다른 쓰임새와 작용을 맡고 있습니다. 그중에서도 오늘은 칼륨 보존 이뇨제에 대해서 자세하게 다뤄보고자 하는데요. 칼륨 보존 이뇨제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해서 먼저 간단하게 이뇨제의 종류 및 기능에 대해서 짚고 넘어가도록 하겠습니다. 1. 이뇨제의 종류 이뇨제의 종류는 다양하지만 대표적인 종류로는 루프이뇨제와 티아지드계 이뇨제, 칼륨 보존 이뇨제가 있습니다. 하나씩 특징들만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1) 루프이뇨제 (Loop Diuretics) 루프이뇨제는 신장의 헨레고리(Lo..
의학용어 의학건강 2021. 2. 7. 21:22
오늘은 두가지 의학용어 HA와 HB에 대해서 간단하게 어떤 뜻을 가진 의학용어인지 설명드리도록 하겠습니다. 각각 여러가지 의미로 사용될수있지만 그중에서도 대표적으로 사용되는 약어를 위주로 말씀드리도록 할게요. 1. 의학용어 HA 의학용어 HA = Hemolytic Anemia 의학용어 HA = Hepatitis A 대표적으로 HA는 용혈성 빈혈을 뜻하는 Hemolytic Anemia나 A형 간염을 뜻하는 Hepatitis A의 줄임말로서 사용됩니다. A형 간염 바이러스는 의학용어 HAV로 Hepatitis A Virus를 줄여서 표현하게됩니다. Hemolytic Anemia, 용혈성 빈혈은 빈혈의 한 종류로서 적혈구의 생성보다 파괴(용혈)가 더 빨라지면서 적혈구 숫자가 부족해지는 빈혈입니다. 빈혈에는 철..
의학용어 의학건강 2021. 2. 3. 14:40
AKI(Acute Kidney Injury)인 급성 신부전이나 CKD(Chronic Kidney Disease)인 만성 신부전이 오게되면 신장 기능이 악화되면서 노폐물 배설 및 수분과 전해질의 균형을 맞추는 기능에 손상을 입게 됩니다. --> 급성 신부전은 신장의 급격한 손상으로 인한 신장기능의 약화, 만성 신부전은 지속적인 신장손상으로 인한 신장기능의 만성적인 악화를 의미합니다. 우리몸에서 신장은 노폐물 배설 및 수분과 전해질의 균형을 맞추는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는데요. 이 신장기능이 손상을 입게되면 몸에 노폐물이 축적되는 요독증(Uremia)이나 특정 전해질의 불균형이 유발되어 다양한 문제를 일으킬 수 있습니다. 부족한 신장기능을 대신하여 체외에서 투석을 이용하여 노폐물을 제거하고 수분과 전해질의 균..
* 단축키는 한글/영문 대소문자로 이용 가능하며, 티스토리 기본 도메인에서만 동작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