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pw증후군이 뭔가요? 쉽게 설명
- 의학정보상식
- 2020. 3. 10. 20:44
WPW 증후군이 뭔가요?
wpw증후군에 대해서 쉽게 설명해보도록 하겠습니다.
먼저 간단하게 한줄로 요약하면 wpw증후군은 심장과 심실 사이에 비정상적인 전도로가 생기면서 발생하는 빈맥성 부정맥의 일종입니다.
wpw증후군은 세명의 이름을 따서 만들어졌습니다.
Louis Wolff
John Parkinson
Paul Dudley White
세명의 이름을 따서 'Wolff-Parkinson-White = WPW 증후군'이라는 이름이 붙게 되었습니다.
심장은 우리 몸 전체에 피를 공급하는 역할을 하지요.
굉장히 중요한 역할이고, 심장이 멎으면 우리 몸 곳곳은 피를 못받고, 그말은 산소와 영양분을 못받아 죽게된다는 뜻입니다.
정상적인 심장이 어떠한 방식으로 피를 공급하는지 먼저 보도록 할게요.
심장에는 4가지 공간이 존재합니다.
2개의 심방과 2개의 심실로 이루어져있고, 각각 좌우에 하나씩 있어서 우심방과 우심실, 좌심방과 좌심실이 존재합니다.
피는 정맥을 통해서 심방으로 들어오고, 심방에 있던 피는 심실로 이동하고, 심실에 있던 피는 동맥을 통해서 몸곳곳에 공급됩니다.
정맥 > 심방 > 심실 > 동맥 > 온몸
위와 같이 피는 이동합니다.
이때, 피가 이동하려면 심장에 존재하는 근육이 수축해서 피를 뿜어내고, 근육이 이완해서 피를 받아들이는 과정이 필요합니다.
이 근육의 수축과 이완은 전기적인 신호에 의해서 이루어집니다.
심장의 박동(리듬)을 조절하는 컨트롤 타워는 우심방에 존재하는 Sinus node(동방 결절)입니다.
이 동방결절에서 가장먼저 전기적인 신호가 만들어집니다.
심장박동의 시작신호인 것이지요.
동발결절에서 발생한 전기적 신호는 심방에 전해져서 심방의 근육이 수축(펌프질)하여 심실로 피를 이동시키도록 유도합니다.
'Sinus node(동방결절) = 심장박동의 시작신호'
그와함께 전기적인 신호는 AV node(방실 결절)로 이동합니다.
AV node는 심방에서 심실로 이어지는 전기적인 통로입니다.
이 AV node는 굉장히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는데요, 심실로 신호를 보내기전에 수문장 역할을 담당합니다.
신호가 너무많다면 신호를 줄이고 숨 고를 시간을 주는것이지요.
'AV node(방실결절) = 심방에서 심실로 이어지는 통로'
AV node가 판단하여 심실이 준비가 되었다고 생각되면 'His bundle' 과 'Purkinje fiber'를 지나서 심실근육에 마침내 도달합니다.
심실근육에 도달한 신호는 심실로 하여금 수축하여 피를 전신으로 뿜어내도록 유도하지요.
결국 전기적 신호의 이동과정을 보면,
Sinus node > AV node > His bundle > Purkinje fiber > Ventricular Myocardium(심실 근육)
위와 같은 과정을 보이고 이것이 '심방 > 심실 > 동맥 > 온몸' 으로 피가 전해지도록 하는 것입니다.
이러한 정상적인 심장의 전기적 신호의 이동과정과 다르게, wpw증후군의 경우에는 우회로가 존재합니다.
정상적인 심방과 심실 사이의 이동경로인 AV node 이외에도 새로운 전기적 신호가 통하는 길이 존재하고, 이는 심장으로 하여금 비효율적인 수축과 이완을 유도합니다.
따라서 심장박동이 정상보다 빨라지는 '빈맥' 이 나타나고 그와 더불어 다양한 증상이 유발됩니다.
wpw증후군에서 나타나는 증상은 사람마다 차이가 있지만, 대체적으로 다음과 같은 증상이 나타납니다.
- 심장 두근거림, 심계항진 (내 심장박동을 내가 느끼고 불편감을 느끼는것)
- 어지럼증
- 호흡이 가빠짐
- 불안감과 피로감
- 가슴통증
- 호흡곤란
- 실신
wpw증후군에서는 위와 같은 증상들이 나타나는데요,
사람마다 증상의 차이가 있기 때문에 매일 증상으로 힘들어할수도 있지만,
1년에 몇번만 증상이 나타나는 경우도 있습니다.
wpw증후군은 심장 돌연사의 원인이 되기도 하지만 드물고,
증상이 없거나 드물다면 주기적인 모니터링(관찰)로 충분하기도 합니다.
하지만 증상이 자주 발생하거나 위험하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의료적인 개입이 필요합니다.
약물적인 치료나, 카테터 전극 도자술과 같은 치료가 대표적입니다.
약물적인 치료는 심장박동을 안정시키는 프로카인아미드나 아미오다론과 같은 약물,
또는 미주신경을 자극하여 빈맥이 개선되지 않을때 사용되는 아데노신과 같은 약물적 치료가 있겠습니다.
카테터 전극 도자술은 wpw증후군에서 발생하는 부적절한 우회로를 제거해버리는 것입니다.
보통 다리에 있는 혈관을 통해서 카테터를 집어넣어 심장에 도달시킨뒤 부적합한 전기적 신호를 만들어내는 회로를 제거합니다.
이는 좋은 예후를 보이며 많이 사용되는 치료법입니다.
약물적인 치료나 카테터 전극 도자술 이외에는 인공심박동기나 다른 수술적 치료,
심율동전환으로 정상적인 심장신호를 회복하는 방법 등이 있습니다.
wpw 증후군은 증상이 있을경우 주기적인 관리와 개입이 필요하고,
약물적 치료가 불편할 경우 카테터 전극 도자술을 시행하는 것도 좋은 방법입니다.
결국 wpw증후군은 많은경우 좋은 예후를 보이고 심각하지 않습니다.
심방세동과 동반되는 경우처럼 위험하게 나타나는 경우도 있기 때문에 이런 부분들도 치료시 고려해야 하고,
결국 적절한 진단과 개입이 이루어진다면 큰 문제가 발생하지 않는다고 볼수 있겠습니다.
'의학정보상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소아 조로증이란? (0) | 2020.03.12 |
---|---|
신경섬유종증 - 제1형과 제2형 신경섬유종증 자세히 (4) | 2020.03.11 |
파타우 증후군을 자세히 알아볼게요 (0) | 2020.03.10 |
묘성 증후군, 고양이 울음 증후군 자세히 정리 (0) | 2020.03.09 |
디죠지증후군 자세하게 정리 (0) | 2020.03.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