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학용어 HAP, 의학용어 MFC, 의학용어 RCT 란?

반응형

오늘은 3가지 의학용어 HAP, MFC, 그리고 RCT에 대해서 설명드리도록 하겠습니다.

각각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을 하기전에 먼저 각각 어떠한 용어의 약어로서 사용되며, 한글뜻은 무엇인지 간단하게 짚고 넘어가도록 할게요.

1. 의학용어 HAP = Hospital-Acquired Pneumonia = Nosocomial Pneumonia = 병원 감염성 폐렴

2. 의학용어 MFC = Minimal Fungicidal Concentration = 진균을 죽이는 최소 농도

3. 의학용어 RCT = Radiotherapy and Chemotherapy = 방사선 치료 + 항암 화학요법

4. 의학용어 RCT = Randomized-Controlled Trial = 무작위대조 임상실험

 

그럼 각각의 의미에 대해서 조금더 자세하게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1. HAP = Hospital-Acquired Pneumonia

병원 감염성 폐렴이라는 뜻으로서 병원에 입원하고 적어도 48시간 뒤에 얻어진 폐렴을 의미합니다. 쉽게 말해 병원에 입원해서 생긴 감염성 폐렴을 말합니다.

이와 반대의 의미로서 의학용어 CAP, Community-Acquired Pneumonia, 지역사회 획득폐렴이라는 용어역시 흔하게 사용합니다.

병원을 오랜기간 입원하거나, 항생제 사용을 많이한경우, 고령이거나 기저질환이 있는경우 병원 감염성 폐렴의 위험도가 높아지고, 당연하게도 병원에는 많은균이 존재하기때문에 여러 감염질환에 노출될수가 있습니다.

 

병원 감염성 폐렴은 일반폐렴과 비슷한 증상인 발열, 기침, 오한, 호흡곤란, 흉부불편감 등의 증상을 유발하구요.

여러가지 원인균이 있을수있지만 Klebsiella, Proteus와 같은 그람음성균들과 H.influenza, S.pneumoniae 등의 균들이 흔하게 병원 감염성 폐렴을 일으키는 균으로서 작용합니다. 녹농균도 흔한 원인균에 해당하구요.

최근에는 여러 항생제에 내성을 갖는 균들이 많이 등장함에 따라서 MRSA와 같은 항생제 내성균에 의한 HAP도 늘어나는 빈도를 보이고 있습니다.

MRSA는 Methicillin-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의 줄임말로서 메티실린 항생제에 내성을 보이는 황색포도상구균을 일컫는 용어입니다.

 

폐렴은 우리나라 사망원인에서도 높은 순위를 차지하고있고, 특히 고령이나 기저질환이 있는경우 폐렴감염이 치명적으로 작용할수 있기때문에 주의깊은 관리와 치료를 요하고 있습니다.

우리나라에서는 고령화에 따라 요양병원이나 여러 장기요양시설 등이 늘어남에따라서 사망원인으로서 폐렴의 빈도가 높아지는 경향을 보이기도하구요.

HAP의 치료로는 여러 항생제를 고려할수있지만, 대표적인 항생제들은 다음과 같습니다.

- Piperacillin/Tazobactam

- Cefepime

- Carbapenem

- Levofloxacin

특히 HAP의 위험성이 높거나, Mortality(사망률)가 높을수있는 고위험군에서는 면밀한 관리가 필요하겠고 HAP의 획득 가능성을 낮추도록 환경의 관리역시 중요한 문제입니다.

폐렴으로 인한 사망빈도가 늘어남에따라서 고령인구에 대해 어떠한 방향으로 나아가야할지 역시 고민해야하는 부분이겠습니다.

 

2. MFC = Minimal Fungicidal Concentration

MFC는 항진균제의 효과를 나타내는 용어로서, 진균을 죽이는 최소농도라고 말씀을 드렸습니다.

정리해서 말하면 3 colony(군집) 이하로 진균을 죽일수있는 최소 희석농도를 말하는데요.

MFC가 낮으면 낮을수록 적은 용량으로도 진균을 죽일수있다는 뜻이기때문에 더욱 더 강한 항진균제로서의 효과를 볼수있다는 뜻이기도합니다.

거의 99% 이상의 항균 효과를 가지는 상태이지요.

 

비슷한 의학용어로서 자주 사용되는 MIC라는 용어가 있는데요.

의학용어 MIC는 Minimal Inhibitory Concentration으로서 최소 억제농도라는 뜻입니다.

비슷한 의미이지만, MIC는 균이 시각적으로 성장을 보이지 않게끔하는 최소 약물 농도를 말하는데요.

균이 배지에서 성장하는 것을 관찰하고, 시각적으로 성장하는 것이 보이지 않도록 하는 약물의 최소 농도를 의미하는 뜻입니다.

약물을 많이 쓴다면 당연히 균이 성장하지 않겠지만 조금만 써도 균이 성장하지 않는다면 이역시 좋은 항균제, 또는 항생제로서의 역할을 수행한다고 볼수있겠습니다.

 

결국 의학용어 MFC와 MIC는 항생제나 항진균제 등 세균과 진균을 죽이는 약물의 효과를 판정하는데 쓰이는 용어라고 생각하시면 되겠습니다.

MFC보다는 MIC라는 용어가 더 흔하게 사용되며, 그 수치가 낮을수록 더 강하거나 효과적인 약물이라고 생각하시면됩니다.

 

3. 의학용어 RCT

RCT는 크게 두가지 의미로 사용됩니다.

먼저, 방사선치료와 항암화학치료를 혼합한 치료방법인 Radiotherapy and Chemotherapy입니다.

방사선치료는 고용량의 방사선에너지를 종양세포에 가함으로서 종양세포를 죽이는 방법이고, 항암화학치료는 약물을 통해서 암세포를 죽이는 방법입니다.

 

암의 치료방법은 굉장히 다양한데, 수술적으로 제거하는 방법은 근치적으로 암을 완전히 제거하는데 효과적이지만 이미 전이가 많이되었거나 수술하기 어려운 상황인경우에는 선택하기 어렵습니다.

--> 환자의 상태가 수술하기 어려울정도로 전신상태가 불량하거나 수술하기 어려운 위치인경우

항암화학요법은 암세포를 효과적으로 죽이지만 정상세포도 죽으며 부작용이 많습니다.

방사선치료는 시행할수 있는 부위가 한정적입니다.

이외에도 암세포만 타겟으로하는 표적치료나 면역을 이용한 면역치료 등 최근에는 여러가지 다양한 항암치료방법들이 고안되며 발전되고 있습니다.

 

암의 치료에는 여러가지 방법을 복합적으로 이용하기도하는데, 수술전에 항암화학요법으로 크기를 줄인뒤 수술하는 방법등이 대표적입니다.

RCT로서 방사선치료와 항암화학요법을 병행하여 치료하는 방법도 상황에 따라 효과적인 치료방법이 될수있습니다.

환자의 상황과 암의 진행정도, 암의 종류에 맞추어 잘 선택하여 치료방법을 채택하는것이 중요하겠습니다.

 

두번째 RCT의 의미로는 Randomized-Controlled Trial, 무작위임상 대조연구라는 뜻이있습니다.

RCT는 NEJM이나 PUBMED 등 저명한 논문들이 등재되어있는 사이트에서는 쉽게 찾아볼수있는 용어입니다.

대표적으로 약물의 치료효과를 판정하거나, 특정 대조약과 실험약을 비교하여 환자에게 투여한뒤에 효과를 판정할때 많이 사용되는 연구방법입니다.

대조군과 실험군을 무작위로 선정한후 시행되기때문에 객관성이 높고 권고수준이 높은 실험설계방법입니다.

 

실제로 연구를 설계하고 시행하는 방법에는 RCT 이외에도 다양한 방법들이 존재합니다.

코호트연구나 환자-대조군연구, 메타분석 등 다양한 방법들을 활용할수있지만, 논문을 찾아볼때 가장 흔하게 찾아볼수있는 실험설계방법중 하나가 RCT입니다.

이중맹검법이나 무작위분배 등을통해서 편견(Bias)을 줄이기때문에 객관적이고, 특히 어떠한 질병 등에서 새로운 약물이나 치료방법의 치료효과를 판정하는데 있어서 가장많이 사용되는 연구방법입니다.

무작위로 두군을 나뉘어서 한군에게는 치료약과 똑같이 생겼지만 효과가 없는약, 한군에게는 치료약을 투여한뒤 결과를 판정하는 방법이라고 생각하시면 간단하겠습니다.

반응형

댓글

Designed by JB FAC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