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인리히의 법칙(Heinrich Law)이란?

반응형

하인리히의 법칙, '1 : 29 : 300'은 한번의 큰 사고가 일어나기전에는 반드시 그보다 더 작은 사고들이 징후로서 나타난다는 이론입니다.

쉽게 애기해서, 1개의 큰 재해가 터질때 29개의 작은 재해가 발생하게되고, 300번의 Near miss(재해는 일어나지 않았지만 사건은 일어난경우)가 발생한다는 이론입니다.

--> 여기서 Near miss는 재해(다친 사람)는 일어나지 않았지만 사고는 생긴경우를 말합니다

 

하인리히는 1931년에 그의 저서인 'Industrial Accident Prevention, 산업 재해 예방' 이라는 책에서 처음 하인리히의 법칙의 개념이 되는 말을 발표했습니다.

"산업현장에서 한건의 대형재해를 일으키는 사고 전에는, 29건의 경미한 재해를 일으키는 사고가 일어나고, 재해를 일으키지않는 300건의 사고가 일어난다."

 

이는 하인리히의 피라미드로도 잘 알려져 있는데요.

피라미드의 제일 밑에는 재해를 일으키지않는 사고가, 그 위에는 경미한 재해를 일으키는 사고가, 가장 위에는 대형재해를 일으키는 사고가 있다는 것입니다.

 

하인리히는 산업현장에서의 재해, 사고를 줄이는것에서 선구자 역할을 했던 사람입니다.

그는 75,000건에 가까운 사고자료들을 정리하고 분석하면서 하인리히의 법칙에 해당하는 내용을 정리하고 그 이론을 발표한 것인데요.

결국 하인리히의 법칙은 경미한 사고를 줄여야 대형재해를 줄일수 있다는 의미를 내포하고 있습니다.

즉, 대형재해와 경미한 재해, 재해를 일으키지않는 사고는 일정한 비율로 발생하기때문에 가장밑의 재해를 일으키지않는 사고를 줄이면 대형재해도 줄일수 있다는 것이지요.

 

하인리히의 법칙은 이후의 세대에도 많은 영향을 미쳤고 이에대해서 여러 학자들의 연구가 뒷받침되었습니다.

하지만 하인리히의 법칙은 여러가지 비판이나 반대에 부딪히기도 하였는데, 재해현장마다 반드시 적용되는 이야기는 아니었기 때문입니다.

 

또한 재해를 일으키지 않는 사고를 줄이려고 노력하다보면 오히려 심각하고 위험할수있지만 흔하게 발생하지 않는 사고의 경우에는 관리가 소홀해질수도 있다는 비판이 일기도 하였습니다.

--> 자주 발생하지만 사소할수있는 사고와 잘 발생하지는 않지만 위험한 사고중에서 위험한 사고를 오히려 소홀하게 관리할수 있다는 것이지요

그러나 하인리히의 법칙은 그 자체로서 산업재해의 예방에 대한 새로운 개념을 제시해주었으며 어떤 시각을 가지고 산업재해의 예방에 힘써야하는지 한가지의 기준이 될수있습니다.

산업현장마다 적용방식은 달라질수 있겠지만 참고할수있는 지표로서 그 의의를 가지는 이론입니다.

 

1966년에는 'Frank Bird'에 의해서 그 이론이 더욱 발전되어 300개에 가까운 현장에서 일어난 백만개가 넘는 사고기록을 바탕으로 새로운 피라미드 이론이 탄생하기도 하였는데요.

이 이론에서도 대형재해와 경미한 재해, 그리고 Near miss의 비율에 대해서 다루고 있으며 더 확장된 모습을 보여주었습니다.

 

하인리히의 법칙은 산업재해현장뿐만아니라 의료현장에서도 적용될수 있는 이론입니다.

의료사고역시 많은 문제가 되고있는 부분이고, 큰 의료사고를 막기위해서는 경미한 사고, 일어날뻔한 사고들을 막는것이 반드시 필요하겠습니다.

 

반응형

댓글

Designed by JB FACTORY